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시군별 불투수면적률과 주요 지역특성인자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Impervious Area Rate and Regional Development Factors at the Sigun Level
김현준 ( Hyunjun Kim ) , 최윤희 ( Yunhui Choi ) , 장민원 ( Min-won Jang )
UCI I410-ECN-151-24-02-089078191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환경부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물순환관리지표 산정지침」은 불투수면을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 주차장, 보도 등으로 정의하며, 토지의 경계와 토지의 주된 용도를 작성한 지적도와 개별공시지가 산정을 위한 조사자료인 토지특성정보를 사용하여 불투수면적을 분류한다. 한국환경과학연구원 (2022)에 의하면 2017년과 2021년의 전국 불투수면적률은 각각 6.11%, 6.64%로, 4년 동안 0.53%(52,629 ha) 증가하였다. 도시화, 산업화의 진척에 따라 불투수면적도 증가하는 것이 합리적인 추론이나, 불투수면적률과 지역 발전을 나타낼 수 있는 사회경제적 인자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검토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지침에 따라 산정된 시군 불투수면적률과 시군의 사회경제적 크기를 대표하는 지표 간의 통계학적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화와 산업화와 관련된 변수를 시군단위 통계자료 생성여부 등을 고려하여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포장도로연장, 개발행위허가면적, 주택용 전력사용량, 농사용 외 전력사용량, 지적도 상 지목 ‘대’면적, 자동차등록대수 등 8개 선정하였고, 불투수면적률과의 상관성, 불투수면적률 변화와 각 변수별 변화량 사이의 상관성 등을 분석하고, 불투수면적률 변화에 따른 각 인자의 관계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미 상당한 도시화가 진행된 불투수면적률이 50%를 넘는 시군들은 모든 지역특성인자들과 상관계수가 낮게 분석되었고, 지목 ‘대’면적과 자동차등록대수만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불투수면적률이 20% 이하인 시군지역은 포장도로연장 외의 모든 변수들과 0.69 ~ 0.94의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불투수면적 분류 지침에 따라 반영된 지목과 용도지역 구분에 따른 영향으로 추정되고, 연도별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는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