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상호작용 시점에서 메타담화적 화용론을 감안하여 코퍼스자기 구축 방법, 질적 분석 방법을 결합시켜 중국 외교 대변인 브리핑에서 수용자 메타담화의 화용적 기능과 자반의식을 탐구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용자 메타담화 분류 틀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외교 대변인이 초점 조절어 및 공동(共动), 공지(共识), 공정(共情), 공처(共处) 구축어를 통해 라운드의 전환과 원활한 상호 작용적 정보 전달 유지의 기능을 실현하고 수용자에 대한 자반적 의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분석을 통해 외교 담화 및 메타 담화의 향후 연구와 활용에 시사점을 제시했다。
受众元话语展现了交际者对受众的关注和对受众语言选择的元语用意识,凸显了话者对于受众的反身意识。与日常交际相比,外交话语的受众更加复杂多元,继而影响话者在交际中话语的选择及其元语用意识。 本文基于元语用理论,以中国外交部例行记者会转写文本为语料,探讨记者会中受众元话语的分布特征,并尝试从互动语言学视角构建外交话语中受众元话语的分类框架以探寻外交部发言人的元语用意识。研究发现,外交部发言人通过焦点调节语和共动、共知、共情、共处构建语分别实现接过话轮和保持互动信息畅通的功能,并展示其对受众的反身意识。研究结果丰富了元语用层面的元话语研究,对外交话语以及受众元话语今后的研究和使用具有一定的启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