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3.59.83.202
13.59.83.202
close menu
신라 성덕왕ㆍ효성왕대의 정치와 사회 -『三國遺事』 聖德王ㆍ水路夫人ㆍ孝成王條를 중심으로-
윤재운
UCI I410-ECN-151-24-02-089048184

이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성덕왕 관련 세 기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각 「성덕왕」조는 유교와 불교정책을 통한 위민정책의 실상, 「수로부인」조는 성덕왕의 측근인 순정공과 수로부인을 통한 동해안 지역의 제의권 장악, 그리고 「효성왕」조는 성덕왕대의 외교관련 치적을 다루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일연의 성덕왕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것으로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성덕왕의 치적에 대한 동시대 신라인들의 인식은 혜공왕 7년(771)에 완성된 성덕대왕신종 명문을 통해 알 수가 있다. 이에 따르면 다소 추상적이기는 하나 성덕왕의 업적을 극찬하고 있다는 점 은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웃나라인 唐의 성덕왕에 대한 평가는 『新唐書』에 실려 있다. 여기서는 ‘군자의 나라’로 칭송하고 있다. 이는 당이 성덕왕대의 신라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일연은 성덕대왕신종명문에 보이는 신라 당대인의 평가나, 당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성덕왕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삼국유사』 기이편에 이례적으로 무열왕과 같은 반열인 세건의 기사를 서술하였던 것임을 알 수가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ree stories about King Seongdeok in Samgukyusa. The findings show that the "King Seongdeok" Jo addressed the facts about Silla's policies for the people through its Confucianism and Buddhism policies, that the "Suro Buin" Jo talked about Silla's dominance over the ritual right in the East Coast area through Sujeonggong and Suro Buin, who were King Seongdeok's close associates, and that the "King Hyoseong" Jo dealt with Silla's achievements related to diplomacy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These stories are good enough materials to demonstrate Ilyeon's perceptions of King Seongdeok. For reference, the inscription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hich was completed in the seventh year of King Hyegong(771), offer some clues about his contemporary Silla people's perceptions of King Seongdeok's achievement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y highly praise his achievements even though their expressions are rather abstract. The New Book of Tang includes Tang's evaluation of King Seongdeok as Silla's neighbor. The book praises Silla as a "state of noble men," which indicates that Tang thought highly of Silla during the rule of King Seongdeok. In short, Ilyeon thought highly of King Seongdeok just like his contemporary Silla people's assessment of him seen in the inscription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and Tang's evaluation of him, thus including three stories about him in the Gi-i book of Samgukyusa. The unprecedented number of his stories in the book matches the level of King Muyeol's stories in it.

Ⅰ. 머리말
Ⅱ. 성덕왕조의 편찬의도
Ⅲ. 수로부인조의 내용과 의미
Ⅳ. 효성왕조 대외관계의 실상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