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朝鮮後期 王室과 華溪寺의 佛敎史的 價値
On Study of Folk tales in Sam-Kuk Yu Sa for Development of Adventure Story
오경후
신라문화 41권 331-352(22pages)
UCI I410-ECN-151-24-02-089047007

화계사는 고려전기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였다. 창건 이후 조선전기까지의 기록은 전무한 실정이다. 조선 건국 이후 불교탄압으로 인한 쇠퇴가 주요원인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부터 화계사는 서평군과 덕흥군, 그리고 조선후기 흥선대원군과 왕실비빈들의 발원과 재정적 지원에 의해 점차 사찰의 규모를 확장해 갔다. 본격적인 중창이 이루어졌던 세도정치 시기에는 김정희와 흥선대원군의 사제관계에서 비롯된 추사학파의 교류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진경문화의 흔적들이 현재까지도 전해지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화계사는 세자의 강건함을 비롯한 왕실의 번영을 기원했던 조선후기 왕실의 원찰기능을 점차 강화시켜갔고, 그에 따른 전각을 비롯한 수행과 대중신앙을 수행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이 안정되어 갔다. 한편 화계사 관련 기록은 사찰이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그 관련 자료와 흔적이 일천하여 안타깝다. 화계사의 전후사정을 파악할 수 있는 『華溪寺略誌』가 편린을 모아 화계사의 역사와 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다. 다만 1938년 찬술된 略誌의 내용은 적지 않은 기록상의 모순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첫째, 고려전기 개창주 탄문과 화계사 관련기록이 略誌외에는 찾아 볼 수 없다는 것, 둘째, 1522년 화계사를 옮겨 중창시키는데 기여했던 결정적 조력자 西平君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 셋째, 1559년 중창에 기여했던 덕흥대원군이 30세로 별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시기에도 직접 중창작업에 조력했다는 사실, 셋째, 현판 ‘寶華樓’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작품이 아닌 위당 신헌의 작품이라는 것 등이다. 이러한 오류는 화계사의 변화뿐만 아니라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감소키고, 후대의 평가를 절하시키는 요인에 해당된다. 관련 자료의 부재로 인한 불완전한 가치 규명은 화계사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고유성을 규명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지닐 수밖에 없다. 결국 화계사의 불교문화사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 현대적 계승을 위해서는 관련 자료의 광범위한 수집과 함께 현대불교문화와의 접목을 통한 계승과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temple, Hwagyesa was built by the national monk Tanmun who succeed to national Buddhist tradi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f Hwagyesa in relation to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Because Chosun dynasty's repression against Buddhism resulted in the decline of Buddhism. But since pre and post war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Hwagyesa had been extended its size and its scale by material aids of Surpyung-gun, Deokheung-gun, and Heungseon taewongun during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in supports of female of the royal family, such as the queens and the royal concubines. In period of Sedo politics that the King's material relatives reigned, as a national and central temple of buddhist circle, Hwagyesa had not only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emple, but also had been built the economic foundation, which can carried on ascetic exercises of monks and popular religious practices. no matter how Hwagyes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may be great, the related record of the temple was limited so that we could find no trace of the temple's history. Historically, The only record of Hwagyesa back that we can trace, was what we call Hwagyesa-YakJi(華溪寺略誌), and was consisted of a brief record of the temple. It put the pieces of the temple's past together. But such a temple's brief document published in 1938 expressed no little historical contradictions into its contents. For example: Firstly, except of the Yakji, there is no historical clue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mple-builder Tanmun in early of Goryeo dynasty and Hwagyesa. Secondly, it made no clear that the real story of Surpyinggun(西平君) who supported the reconstruction of Hwagyesa in 1522. Thirdly, After Dukhung taewon-gun who constructed the temple in 1559, died at the age of thirty, it was said a story that, still he personall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temple. Finally, the plaque marked Bohwaru(寶華樓), was not the written art work of Yi Ha-eung(Heungseon taewon-gun), but Sin Heon (wi dang)'s work. these historical mistakes are enable to fabricate the transition of Hwagyesa, inju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temple, and underestimate the temple in itself by later generation. For a lack of the related materials of Hwagyesa, it can not choose but limit to investigate not only the historical truth of the temple but also the cultural identity and history of korea. On cautious finding,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objective values of Hwagyesa's Buddhist culture historically and bring its values up to the present time, with the far-reaching collecting of its related material, we have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Hwagyesa's historical heritage and culture of modern Buddhism, graft the former into the latter, and finally develop the both side.

Ⅰ. 머리말
Ⅱ. 三角山華溪寺略誌
Ⅲ. 華溪寺의 創建과 重建
Ⅳ. 朝鮮後期 王室과 華溪寺
Ⅴ. 朝鮮後期 文化的 傾向과 華溪寺
Ⅵ.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