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신라 上古期의 도성 구조와 ⾦城ㆍ月城의 성격
The Structure of the Capital in the Early Silla Period and the Character of Guemseong Fortress and Wolseong Fortress
여호규 ( Yeo Ho-kyu )
신라문화 58권 7-41(35pages)
DOI 10.37280/JRISC.2021.06.58.7
UCI I410-ECN-151-24-02-089045343

신라 상고기의 도성 경관은 3세기 중반 이후에 본격적으로 형성되었는데, 처음에는 궁전이나 제의시설을 조영하는 양상을 띠었다. 상고기 도성은 금성과 월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금성의 위치와 성격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한 실정이다. 최근 금성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아주 단기간만 왕성의 역할을 했다고 보기도 한다. 그렇지만 문헌사료상 상고기 도성으로는 금성이 가장 빈번하게 언급된다. 또 월성 축조 이후에도 왕들이 금성에 거주한 사실이 확인되며, 각종 祥瑞나 災異 기사도 금성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상고기의 왕성은 금성이었던 것이다. 금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한데, 경주분지의 고지형에 대한 최신 연구성과를 토대로 첨성대 주변의 미고지 또는 대릉원 서남쪽의 황남동-사정동 미고지 일대로 비정해 보았다. 월성은 4세기에 성벽을 먼저 축조하고, 5세기 이후에 수혈해자를 조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성에 성벽을 처음 축조했을 때는 안팎에 수혈주거지가 산재하여 주변 지역과 완전히 격리되지 못했다. 월성은 초축 당시에는 구릉이라는 입지조건을 배경으로 주로 비상시의 군사방어성으로 활용되었던 것이다. 신라 상고기에는 금성이 평상시 왕성의 기능을 담당했고, 구릉에 자리한 월성은 주로 비상시 군사방어성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이러한 상고기의 도성구조는 평지성과 구릉성(산성)을 세트로 하는 한성시기 백제 도성이나 국내성시기 고구려 도성과 동일하다. 다만 중고기 이후 월성이 궁성의 기능을 담당하고, 종전의 금성은 시가구역으로 개발됨에 따라 점차 인멸되어 지금은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게 되었다.

The landscape of the capital city in the early Silla period was established in earnest after the mid-3rd century, initially taking the form of a palace and ritual facility. The capital city in the early Silla period was formed around Guemseong Fortress and Wolseong Fortress.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location and character of Guemseong Fortress, especially as it denies the existence of Guemseong or plays a role as the royal castle for a very short time. However, Guemseong i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fortress in literature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kings lived in Guemseong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Wolseong, and the historical records on good signs and bad signs are also concentrated on Guemseong. The royal castle in the early Silla period was Guemseong. Based on the latest research on the paleo topography of the Gyeongju Basin, I found the location of Guemseong in the high ground area around Cheomseongdae, or in high ground area from Hwangnam-dong to Sajeong-dong, southwest of Daerungwon Park (Great royal tombs area). The wall of Wolseong Fortress was built in the 4th century, and its ditch-shaped moat was built in the 5th century. When the fortress wall was first built in Wolseong, ditch-shaped residences were scattered inside and outside, so it was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Wolseong was first used as a military defense fortress by utilizing the location conditions of hills. Guemseong Fortress was usually the function of the royal castle in the early Silla period, and Wol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hills, played the role of a military defense fortress. The capital structure of the early Silla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Bae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Goguryeo during the Goknaeseong Period. However, Wolseong was in charge of the function of the palace from the middle Silla period, and the previous Geumseong Fortress was gradually destroyed as a city area, making it difficult to find traces of it now.

Ⅰ. 머리말
Ⅱ. 신라 上古期 도성의 형성과 그 구조
Ⅲ. 신라 上古期 ⾦城의 위치와 月城의 성격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