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23
216.73.216.123
close menu
KCI 등재
영남지역 분묘 출토 봉상철기 연구
Research of the Stick-shaped Ironware Excavated in the Tomb of Yoengnam Area
김훈희 ( Kim Hoon-hui ) , 고상혁 ( Ko Sang-hyuk )
신라문화 57권 155-177(23pages)
DOI 10.37280/JRISC.2020.12.57.155
UCI I410-ECN-151-24-02-089045254

영남지역의 목관묘와 목곽묘에서 확인되는 철소재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판상철부와 철정이 소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까지 조사된 일련의 자료 검토를 통해 기존에 인식되어오던 것과는 또 다른 철소재가 확인된다. 이러한 철기는 기존에 철착ㆍ철추 등으로 보고되었던 것으로서 사용 흔적이 없고, 인부가 예리하게 가공되지 않는 등 실용기로서 사용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단야구와 공반되는 경우도 다수 확인되고 있어 단야공정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근거로 이러한 봉상의 철기를 철소재로 설정하고자 한다. 용어에 있어서는 기존에 외면형태가 봉상이므로 봉상철부, 철착, 철추 등으로 불리던 것을 봉상철기라는 명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봉상철기는 형태를 통해 3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구분된 봉상철기는 2세기 중ㆍ후엽부터 6세기까지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가 확인된다. 봉상철기는 철소재로서 성형이 용이한 저탄소강의 탄소함량을 보인다. 봉상철기는 완제품에 가까운 형태로 제작되었다. 철소재를 완제품으로 제작하는 단계에서 많은 단조 과정을 거치게 되면 노동력을 소모하고, 철기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이 중간소재를 완성품과 유사하게 제작하는 이유는 철기 생산의 효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봉상철기의 분포는 2세기 중엽에서 4세기 중엽까지 경주ㆍ울산ㆍ포항ㆍ김해지역 등에서만 확인된다. 그 외 지역에서는 봉상철기를 소재로 제작된 완제품만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4세기 중엽 이후에는 경주와 김해 이외의 지역에서도 봉상철기와 단야구 등이 확인되며, 이전과는 다른 각 지역만의 특징을 가진 철기가 출현한다. 이를 통해 철의 유통 시스템이 4세기 중엽 이전에는 완제품의 유통이 이루어졌다면, 그 이후에는 철소재로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Most stick-shaped ironwares are recognized as iron axe, iron awl, iron chisel because of the formative feature, which is excavated in the tomb of Yoeng-nam area. Stick-shaped ironwares can entirely be distinguished by plane forms and weights. Distinguished stick-shaped ironwares confirm the change of the time from mid, late-2nd century to 6th century. Stick-shaped ironwares and their original shapes are verified from the stage of wooden coffin tombs. However, while the used bowls which has the certain trace of use are found on the stage of Wooden coffin Tombs, some of stick-shaped ironwares on Wooden chamber Tombs are unclearly found as the used bowls. As you can see, any trace of use was not found, their surfaces weren't trimmed, examples of use by cutting them were confirmed, and the relation of smith's tools is found. From these views, stick-shaped ironwares would rather be inferred as a steel material to make other completed products than as the completed products to use in real. We can confirm production of stick-shaped ironwares made with the method of cementation using wrought iron and low carbon steel as the steel material that can be formed easily and ductile. So stick-shaped ironwares are made as the completed products because not only labor power are wasted but also durability of the steel tools goes down by going through many stage of forge. And the way of how to make a iron helmet could be inferred when we see the sectional shape of iron helmet in the middle, the efficiency of manufacture through the stick-shaped ironwares is confirmed. Stick-shaped ironwares are not found except for the area of Goengju and Gimhye where were the centers of the city from in the middle 2nd century to in the middle of 4th century and the completed products made with stick-shaped ironwares are being confirmed. But, stick-shaped ironwares and smith's tools are confirmed after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ironwares appear with the their own character of this area unlike Gyeongju. All over the these, if the circulation system of iron that the completed products was in circulation before the middle of fourth cetury, after that, it would be inferred that the steel material was in circulation.

Ⅰ. 머리말
Ⅱ. 정의와 분류
Ⅲ. 생산과 가공
Ⅳ. 분포의 변화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