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면의 질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on Dep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박예휘 ( Park Ye-hwi ) , 신수민 ( Shin Soo-min )
DOI 10.24826/KSCS.12.11.13
UCI I410-ECN-151-24-02-0890420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거부, 강요, 비일관성과 같은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수면의 질이라는 매개효과를 통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21년에 조사된 4차년도 데이터를 통해 고등학생에 진입한 청소년들 2,2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적 양육태도와 수면의 질이 우울이라는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것에 의의를 지닌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우울감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에게 부모와 함께 참여하는 가족상담, 가족교육 프로그램 및 수면의 질 향상 프로그램이 요구된 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정신건강 예방 및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perceived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cy among high school adolescents and their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Methods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from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and the data of 2,233 adolescents who entered high school through the fourth year of the survey in 2021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Ver. 22.0 program.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sleep qual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d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leep quality on the mental health condition of depression among high school adolesc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counseling, family education programs, and sleep quality improvement programs involving parents are needed for adolescents who complain of depres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to prevent mental health and reduce depression in adolesc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