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우수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통해 본 가상 체육공간에 대한 철학적 논고
A Philosophical Study on Virtual Sports Space Seen through Lefebvre’s Spatial Theory
김소미 ( Kim So Mi ) , 김정은 ( Kim Jeong Eun )
DOI 10.23949/kjpe.2023.11.62.6.20
UCI I410-ECN-151-24-02-089040919

본 연구는 확장된 스포츠 활동으로 가상체육활동의 실용적 요구와 더불어 교육환경의 생태적 변화를 조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해석적 지표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르페브르의 공간 삼원론을 분석틀로 적용하였으며,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각각의 층위를 통해 가상 체육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교육 비전, 그에 따른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가상공간의 기술력은 기계와 융합된 신체로의 전환에 큰 장점을 두고 있다. 물론 신체들 간의 직접적인 물질적 관계맺음은 불가능하지만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신체활동이 전개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미를 부여해 볼 수 있었다. 둘째, 가상공간 역시 장소화 된 하나의 체육활동공간이라는 점이다. 공간 생산이라는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가상 체육활동 공간은 현실에서의 운동장, 체육관만큼이나 사적, 기술력, 신체리듬과 같은 신체적 전유가 발생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체험은 결국 공간 애착, 익숙함과 같은 장소애를 형성하게 된다. 셋째, 가상 체육공간이 가진 기술적 특성을 ‘공간적 실천’과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세 가지 맥락에서 보았을 때 자연화된 공간만큼이나 체험된 공간으로서 교육적 효용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가상 스포츠 활동의 교육적 비전에 대한 해석 차원의 연구로서 실재적, 가상적 경험 속에서 근본적인 체육활동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여지 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ecological chang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the practical demand for virtual physical education (PE) activities as an extended sport activity. The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was used as an interpretive indicator. Lefebvre’s Spatial Triad was applied as an analysis framewor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pecific examples, education vision, and its limitations on virtual PE activities were discussed through each analysis level of 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First, the technology of virtual space has the great advantage of converting to a body merged with machines. Indubitably, it is impossible to have a direct physical relationship among the bodies. However, it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physical activity is unfolded at the border between the virtual state and reality. Second, virtual space is also one of the places that has become a space for PE activity. From a semantic perspective of space production, physical appropriations such as personal technical skills and biorhythm occur in virtual PE activity spaces as much as in sports stadiums and gyms. Such experiences eventually form topophilia of space attachment and familiarity. Third, when examin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PE space from the context of ‘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space of representational,’ educational utility is expected as an experienced space as to that of naturalized space. This is the interpretative study of the educational vision of virtual sports activity.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fundamental PE activity from realistic and virtual experiences.

서론
르페브르의 공간이론
체육활동 공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