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사과 품종에 따른 건정과의 품질특성
Properties of Dried Apple Jeonggwa according to Apple Varieties
이경미 ( Gyeong Mi Lee ) , 김진원 ( Jin Won Kim ) , 신정규 ( Jung-kue Shin )
산업식품공학 27권 4호 422-427(6pages)
UCI I410-ECN-151-24-02-08903828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품종에 따른 사과 건정과의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수분함량은 제조 전에는 품종별 차이가 있었으나 제조 후에는 6.06-7.35%로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고 비슷한 수준이 되었고 중량감소율도 42.45-48.57%로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정과의 색도는 L 값은 홍옥이 63.87±1.70으로 가장 밝았고 a 값은 홍옥이 1.95±1.30으로 가장 높았다. b 값은 홍로가 23.21±2.13으로 가장 높았다. 당도는 사과 자체의 당도와 건정과 제조 후의 당도를 확인하였다. 사과 자체의 당도는 홍로가 13.87±0.12, 부사가 14.13±0.12이고 홍옥이 12.90±0.1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제조 후의 당도는 홍로가 8.36±074, 부사가 8.70±0.49, 홍옥이 9.04±0.27로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건정과의 Hardness는 6.13-6.54 kg으로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Resilience는 홍로 0.06±0.02, 부사 0.04±0.01, 홍옥 0.05±0.01로 나타났다. 기호도 평가 항목 중 외관은 홍옥이 6.73±1.64로 가장 높았고, 색은 홍옥이 7.07±1.54로 가장 높았으며, 향은 4.83-5.24로 모두 비슷한 점수였고, 단맛은 홍옥이 7.05±1.61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신맛은 홍옥이 6.07±1.86이 가장 높았고, 부착성과 경도, 씹힘성 모두 홍옥이 6.10±2.10, 6.10±1.84, 6.56±1.74로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홍로가 5.66±1.84, 부사가 5.78±2.26, 홍옥이 6.88±1.78로 홍로와 부사는 유사했으며 홍옥이 7점에 가까운 점수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p<0.05).

Dried apple jeonggwa, a traditional Korean dessert, was made using various apple varieties, such as Jonathan, Fuji, and Hongro. After making the dried apple jeonggwa,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dessert made using different apple varieties were compared. The apple varieties had no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 weight loss, or sugar content. Chromacity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varieties, but ΔE was small. Hardness was highest in Jonathan, while resilience was highest in Fuj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color, sweetness, hard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Jonathan, while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in terms of flavor, sourness, or adhesivenes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