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보험계약에 있어서 우리나라 상법의 지위는 다소 열악하다. 이는 영국법 준거약관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법은 준거법이 아니더라도 국내적 강행규정이나 국제적 강행규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관련 법리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글에서는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지 못했던 우리나라 상법(해상보험), 그중에서도 공동해손분담액의 보상관계(상법 제694조), 해난구조 시 구조료 보상(상법 제694조의2), 특별비용의 보상(상법 제694조의3), 선박미확정시의 적하예정보험(상법 제704조), 선박/적하의 일부 손해발생 시 보상의 문제(상법 제707조의2, 708조), 적하매각으로 손해를 보전한 경우의 법률관계(상법 제709조) 등을 살펴보았다.
해상운송 분야에 관하여 대법원 판례들이 계속 나오고 있고 이는 필연적으로 해상보험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가령, 상법 제814조 제1항의 제척기간 연장을 허용한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7다247848 판결은 보험계약자에게 새로운 보험조건(연장된 기간에 발생한 사고를 부보할 것인지 및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한 보험료율 변경 등)을 제시할 여지도 있어 보인다. 더구나 국제사법(2022. 1. 4. 법률 제18670호로 전부개정된 것)에서 해상사건에 관한 국제재판관할을 대폭 개정하여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다.
해상운송 분야에 터 잡은 해상보험 분야에서도 더 선진적인 입법과 실무가 정착되기를 희망하면서, 아직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상법의 해상보험 조항들에 관한 후속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status of Korean Commercial Act in marine insurance contracts is rather poor. This is due to the English law governing terms. However, even if Korean law is not the governing law, it can be applied ass domestic public policy or overriding mandatory rules. Thus there should be a lot of interest in the relevant jurisprudence.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som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Korean Commercial Act (Marine Insurance) that have not been utilized in practice, such as the compensation relationship for General Average (Art. 694), compensation for Salvage (Art. 694(2)), and compensation for special expenses (Ar. 694(3)), floating insurance for cargo (Art. 704), compensation in the event of partial damage to the vessel or cargo (Art. 707(2) and 708), and legal relations regarding the disposition of cargo (Art. 709).
Supreme Court of Korea precedents continue to emerge in the field of maritime law, which inevitably affect the field of marine insurance. For example,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June 9, 2022, 2017-Da-247848, which allowed the extension of the period under Art. 814(1) of the Commercial Act, may open the door to new insurance conditions for policy-holders. Furthermore,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significantly revised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f maritime cases, which is attracting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We look forward to further discussions on the marine insurance provisions of Korean Commercial Act, which are still relatively under-researched, with the hope that more advanced legislation and practice will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marine insu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