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23
216.73.216.123
close menu
KCI 등재
칸트와 좋은 죽음의 문제
Kant and the Problems of Euthanasia
김양현 ( Yang Hyun Kim )
철학·사상·문화 43권 109-130(22pages)
UCI I410-ECN-151-24-02-089030422

이 글은 삶과 죽음에 대한 칸트의 생각과 태도를 밑바탕으로 삼아 좋은 죽음의 문제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 시대에는 좋은 삶만큼이나 좋은 죽음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칸트의 생각을 원용하여 자살과 안락사 문제를 스케치한 다음에, 이를 기초로 웰다잉의 소극적 가능성과 적극적 가능성의 문제를 논의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오늘의 문맥에서 되새겨볼만한 삶과 죽음에 대한 메시지를 제시해 볼 것이다. 칸트는 한 인간으로서, 철학자로서 평생 좋은 삶을 살기 위해서 노력했다. 또한 쉽고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길 원했다. 그는 건강한 삶, 자유롭고 활동적인 삶을 살 수 있었던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issue of a good death based on Kant’s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life and death. In our time, the question of a good death has become as important an issue as a good life. Based on Kant’s thoughts, we sketch the issues of suicide and euthanasia.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issues of passive and active possibilities of well-dying. Kant strived for a good life throughout his life as a human being and as a philosopher. He also wanted to have an easy, comfortable, and dignified death. He is said to have been very proud of being able to live freely and actively throughout his life.

1. 들어가며
2. 자유롭고 활동적인 삶을 살다
3. 칸트는 자살에 왜 반대하는가?
4. 칸트는 안락사를 반대하는가?
5. 웰다잉의 소극적 가능성을 열다
6. 웰다잉의 적극적 가능성을 기대한다
7. 마무리하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