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조지 워싱턴의 꿈의 실현을 위한 준비된 리더십: 대륙군 총사령관 임명을 중심으로
The preparatory leadership for the Realization of George Washington’s Dream: Focusing on the Appointment of the Continental Army Commander in Chief
김형곤 ( Hyunggon Kim )
미국사연구 37권 1-45(45pages)
UCI I410-ECN-151-24-02-089022206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 총사령관 당선은 그의 일생에서 간절히 이루고자 한 꿈을 실현하는 순간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연구들은 이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또한 몇몇의 연구들은 워싱턴의 의지나 꿈과는 상관없이 그저 대륙회의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선출하여 그가 어쩔 수 없이 마지못해 그 직을 수행했다는 논리를 전개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워싱턴의 총사령관 당선을 단순한 수동적인 입장이 아니라 그가 이루지 못했던 꿈을 이루는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이었다는데 주목했다. 워싱턴이 태어난 18세기 초 식민지 버지니아 사회는 무엇보다 명예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였다. 워싱턴은 누구보다도 명예롭게 살기를 원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성공을 해야 했다. 워싱턴이 성공을 위해 선택한 길은 군인, 농장주, 정치가였다. 워싱턴은 농장주와 정치가로서는 당시 식민지 사회에서 최고로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군인으로서의 길은 자신의 명예를 실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졌다. 그것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영국의 차별과 강압이 군인으로서의 성공의 길을 갈 수 없도록 만들었다. 워싱턴은 군인으로 성공하여 명예로운 사람으로 살고자 하는 꿈이 너무도 컸지만 차별과 강압에 침묵하는 것은 그가 일생을 통해 가장 두려워한 불명예가 되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워싱턴은 꿈인 군인의 길을 포기했다. 그런데 그에게 못다 이룬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그것은 자신의 꿈을 좌절시킨 영국을 상대로 미련으로 남아 있는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그것은 독립군 총사령관이 되는 기회였다. 워싱턴은 기회가 왔을 때 침묵하거나 수동적이지 않았다. 그는 군복을 미리 맞춰 입었다. 그는 전쟁준비를 꼼꼼하게 했다. 그는 버지니아를 넘어 식민지 전체의 군사문제에 적극 관여했다. 그는 젊었을 때의 초조함을 버리고 보다 신중하고 겸손한 사람으로 대륙회의 의원들을 만족시켰다. 그 어디에도 워싱턴이 총사령관이 되고 싶다거나 그것이 자신의 꿈이라고 표현한 적은 없다. 하지만 총사령관을 선출하는 시기의 워싱턴의 이러한 행동은 그가 군인으로서 못다 이룬 꿈을 실현시키는 일종의 셀프 리더십의 과정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It is considered that the election of the Continental Army Commender in Chief of George Washington was the moment to realize his dream eagerly ever wanted throughout his life. In the meantime, a number of studies did not take this seriously. Some studies have explained that the Continental Congress elected Washington to the Commander in Chief unanimously, but he was reluctant to take the appointment regardless of his will and his dream. However, this paper noted that Washington took the election of the Commander in Chief in a more active and positive stance fulfilling his dream unfulfilled than mere passive stance. In the 18th century Virginia, hono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thers. Washington wanted more than anyone to live with honor, and to do so he had to be successful. Washington chose the way to be a military man, planter, politician to succeed. Washington had the best success as a planter and politician at that time. But,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and coercion of British, he did not realize his honor as a military man. Although his dream, to succeed as a military man and to live with honor, was very strong, Washington gave up being a military man. He thought that the silence of discrimination and coercion of British was maybe the most feared disgraced. Meanwhile, an opportunity for Washington to realize his dream unfulfilled came to him. It was the chance against British to set back his dream. It was the chance to be the Continental Army Commender in Chief. When the opportunity came, Washington was neither silent nor passive. He wore the military uniform in advance. He was throughly ready for war. He was actively involved in military matters of all country including Virginia. He abandoned a youthful sense of urgency and became more a cautious and humble man. Member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liked him to be so. There was neither a sign or expression for Washington to be the Continental Army Commender in Chief, nor was it his dream. But, it is indicated that the actions of Washington, after he was elected as the Commender in Chief, were a kind of leadership to realize his dream unfulfilled as a military man.

Ⅰ. 서 론
Ⅱ. 군인으로 성공
Ⅲ. 조지 워싱턴의 꿈의 실현
Ⅳ. 결 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