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제1차 세계대전 전후 미국의 산림보호 정책과 기념수 조성 운동
Memorial Trees in the Post-War Years: First World War and Forest Con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최대명 ( Choi Daemyeong )
미국사연구 58권 41-80(40pages)
DOI 10.37732/KJAH.2023.58.041
UCI I410-ECN-151-24-02-089018999

본 글은 제1차 세계대전이 1910, 20년대 미국의 산림보호 정책에 미친 영향을 추적한다. 1900년대 대통령 루스벨트와 산림청장 핀쇼가 주도한 위로부터의 개혁은 국유림의 확대와 사유림에 대한 규제 강화라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목재 산업의 큰 반발을 초래했다. 이로 인해 그들이 실각한 1910년대 초 산림청은 정치적 십자포화에 휩싸인 채 개혁의 동력을 상실해갔다. 의회는 지속적으로 예산을 감소하려 했으며 연방정부 내 유관기관들 또한 산림청의 권한을 축소하고자 했다. 장기 불황에 들어선 목재 산업은 수익성을 이유로 산림관리의 법제화에 난색을 표했다. 이러한 상황은 1차 세계대전을 통해 반전되었다. 유럽 대륙의 전화는 산림자원의 가치와 산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으며, 갈등의 골이 깊어져가던 목재 산업과 산림청의 전시 공조체계를 이끌어냈다. 더해서, 종전 직후 미국산림협회가 주도한 기념수 조성 운동은 대중의 애국주의 정서를 자극하며 산림관리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처럼 전쟁을 통해 산림관리의 당위성이 강화되고 우호적 여론이 조성됨에 따라 산림보호 정책은 1910년대의 위기를 딛고 진일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백인 중심의 국가적 통합을 추구한 인종적 내셔널리즘의 한계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했다.

This article traces the impact of the First World War on forest conservation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10s and 1920s. The reform initiated by President Roosevelt and Forest Service Chief Pinchot in the 1900s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national forests and stricter regulations on private forests, but faced significant opposition from the lumber industry. As a result, amidst political conflicts in the early 1910s, the Forest Service lost momentum for reform. The Congress consistently sought to reduce the budget, while other federal agencies also sought to diminish its authority. The lumber industry, facing a prolonged recession, resisted the legalization of forest management due to concerns for profitability; however, the First World War reversed this situation. The conflict on the European continent heightened awareness of the value of forest resources and the importance of forest management, leading to a wartim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lumber industry and the Forest Service, which had been deeply divided by conflicts. Furthermore, the post-war movement led by the American Forestry Association to create memorial trees and forests stimulated patriotic sentiments among the public, and increased popular interest in forest management. Although a national consensus on forest conservation was soon established, enabling the Forest Service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1910s, and continue with its reforms, the reforms were not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racial nationalism.

Ⅰ. 머리말
Ⅱ. ‘목재 남작’과 ‘테디주의’
Ⅲ. 전시 공조체계
Ⅳ. 전후 기념수 조성 운동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