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3개 고등학교 360명으로 남학생 159명, 여학생 201명이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된 매개지수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re 360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in G province, including 159 males and 201 females. High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had a direct effe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creative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self-efficacy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o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The moderated mediation index was significant, s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iffers as high school students' social support increas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pecifically examined that digital literacy enhance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eative self-efficacy, and this relationship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