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김정은 시기 북한당국의 간호 담론 분석
An Analysis of Discourse on Nursing in North Korea during the Kim Jong-un Era
고민정 ( Minjeong Ko ) , 추상희 ( Sang Hui Chu )
통일연구 27권 2호 5-42(38pages)
UCI I410-ECN-151-24-02-089009089

본 연구는 북한의 연속간행물을 바탕으로 김정은 시기 북한 당국의 간호 담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정은 이전 시기와 비교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발간된 일간지 『로동신문』, 『민주조선』, 『문학신문』과 잡지 『예방의학』, 『고려의학』, 『기술혁신』, 『고등교육』 기사 중 제목에 “간호”를 포함한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시기별 기사의 내용을 파악하고 단어 빈도 수, 잠재 디리클레 할당을 통한 토픽 모델링으로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보조적으로 최근 3년간 『로동신문』 기사 중 “보건”, “의료”, “간호”를 포함한 기사를 통해 의료, 보건 전반의 기사의 주제와 간호원 관련 기사의 주제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김정은 시기 북한의 간호 담론은 희생적이고 북한 정권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한 김정일 시기와 달리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묵묵히 일하는” 간호원을 소개하고, 간호 교육의 과학화, 표준화에 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었다. 북한당국은 장기간 근무한 간호원과 국제사회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간호교육시설을 통해 체제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의 질 향상을 통한 국제적인 수준의 간호를 지향하고자 하는 북한 당국의 변화된 시각의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Based on the continuous publication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on nursing during Kim Jong-un’s era. To compare with the previous era, this study analyzed articles containing the word ‘nursing’ from daily newspapers and magazines starting from the 1950s. By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articles across different periods and using techniques such as word frequency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for topic modeling, the main themes have been identified. As a supplementary analysis, the differences in the themes of healthcare-related articles and nursing-related articles have been examined in the recent three years’ articles from Rodong Sinmun. The discourse in Kim Jong-un’s era emphasizes the nurses who silently work in unseen places for decades, as well as the scientific and standardization aspects of nursing education. The focus on sacrifice and loyalty to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was the main theme of the Kim Jong-il era appeared less. The authority frequently highlights the professional activities of nurses and the quality of nursing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evolving perspectiv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or nursing quality development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Ⅰ. 서론
Ⅱ. 북한 연속간행물에 나타난 간호 관련 기사
Ⅲ. 시기별 북한당국의 간호 담론
Ⅳ. 김정은 시기 간호 담론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