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상황 기반 읽기 과제에 따른 중학생 독자의 독해 양상 연구
Exploring reading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ituation-based reading tasks
백혜선 ( Paik Hyesun )
독서연구 vol. 69 85-112(28pages)
DOI 10.17095/JRR.2023.69.3
UCI I410-ECN-151-24-02-089006024

이 연구는 상황 기반 읽기 과제에 따른 중학생 독자의 독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황적 리터러시 관점을 바탕으로 읽기 목적이 다른 읽기 과제를 개발하였다. 서울 A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3개 학급의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읽기 과제와 설문조사, 면담을 진행하였다. 읽기 과제 유형에 따른 읽기 목적의 설정, 읽기 과제 유형별 읽기 자료 평가 양상, 중학생 독자의 읽기 과제 인식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읽기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목적 설정 양상에 차이가 있었으며 상황 기반 읽기 과제에서 복합적이고 구체적인 읽기 목적을 설정하고 있었다. 또한 읽기 자료 평가에서도 읽기 과제가 구체적일수록 이를 고려하여 자료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중학생들은 상황기반 과제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읽기 과제와 비교해 더 흥미로웠으며 집중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는 상황 기반 읽기 과제가 독자들의 읽기 목적을 구체화하고 읽기 자료의 유용성을 구체적인 상황에 맞게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ding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situation-based reading tasks. To this end, reading tasks with different reading purpo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ituated literacy perspective. Reading assignment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72 ninth-grade students in Seoul. The analysis was structured around setting of reading purpose, the evaluation of reading text, the perception of read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et different reading purposes depending on the type of reading task, and students in situation-based reading tasks set more complex and specific reading purposes. In addition, the specificity of the reading task influenced the evaluation of reading materials.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ly evaluated situation-based tasks positively, noting increased interest and improved concent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reading tasks. This study shows that situation-based tasks can delineate readers’ reading purpose and evaluate the relevance of reading materials within specific situations.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읽기 과제와 상황적 리터러시 관점
3. 연구 방법
4. 읽기 과제 유형별 독해 양상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