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컨테이너형 수직농장 내 인공광 제어에 따른 대마 ‘청삼’의 생육 변화
Changes in Cannabis ‘Cheongsam’ Growth under Artificial Light Conditions in Containerized Vertical Farm
이정민 ( Jeong-min Lee ) , 허정욱 ( Jeong-wook Heo ) , 김승희 ( Seounghee Kim )
UCI I410-ECN-151-24-02-089005312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현재 국내에서는 대마 생산이 불가하나 앞으로 의약품 원료 추출용 저마약성 대마 헴프 생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40ft 규격 컨테이너 구조의 수직농장을 구축하였다. 내부에는 공기 상태에 따라 작물 생육에 적절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조 장치를 설치하였다. 작물 재배를 위한 LED 재배대를 재배실 내 좌우에 배치하여 광질, 광량에 따른 대마의 3주간 초기생육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대마 품종은 ‘청삼’으로 7월 10일에 파종하여 3주간 컨테이너 육묘실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육묘 후 7월 31일에 재배실에 정식하였다. 재배실 내 온도는 주간 23~27℃, 야간 18~21℃, 양액조건은 pH 6.0, EC 1.3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인공광은 A(대조구, W LED, 730μmol/m2/s), B(광질처리구, W+UV+IR, 730μmol/m2/s), C(광량처리구, W LED, 970μmol/m2/s) 세 조건으로 나누어 조건별로 청삼 18주씩 재배하였다. 조명 시간은 16h·day-1으로 동일하게 유지하였고 1주일 간격으로 전개엽수, 초장, 줄기두께, 소엽정보 등 생육 변화를 총 3회 조사한 결과 전개엽수와 줄기 두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지표는 초장으로, 광질처리구 B가 대조구 A 대비 약 15.5%(126mm) 도장하는 경향을 보였고, 광량처리구 C는 대조구 A 대비 약 21%(171mm) 낮은 안정적인 생육을 보였다. 균일도의 경우 광질처리구 B가 8개 중 5개 지표(엽수, 초장, 두께, 소엽수, 소엽길이)에서 가장 낮은 표준편차로 균일하게 생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재배실에서 970μmol/m2/s 수준 광량에서 청삼이 도장하지 않으며 W+UV+IR 혼합광에서 안정적이고 균일한 생육 경과를 보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컨테이너형 수직농장 내에서 안정적인 대마 재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연구 결과는 향후 컨테이너형 수직농장 내 대마 생육매뉴얼 작성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