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8.230.170
18.218.230.170
close menu
}
KCI 등재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영유아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bout Experiences of the Play Using Humanoid Robot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유지윤 ( You Ji Yoon ) , 심숙영 ( Sim Sook Young ) , 임선아 ( Lim Sun Ah )
DOI 10.22155/JFECE.30.3-4.235.253
UCI I410-ECN-151-24-02-089020426

본 연구는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영유아 교실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담임 선생님 4명과 인터뷰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QC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담임교사 경험의 내용은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교사들은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가 영유아 놀이를 발전시킬 뿐 아니라 교사의 교수적 한계를 도와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들은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에서 휴머노이드의 기능적 문제와 인프라와 비용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들은 휴머노이드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휴머노이드의 언어 인식 및 응답기능의 보완이 필요하며,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와 관련 교육 연수를 통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을 통해 나타난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의 효과와 문제, 휴머노이드를 현장에서 잘 사용하기 위한 보완적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는 데 연구적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play using humanoids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d experience providing play using humanoids, an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operate a play classroom using humanoids. For this purpose, interview data from four homeroom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using humanoid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As a result, the content of homeroom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play using humanoids was divided into three upper categories and seven lower categories. In detail,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play using humanoids was effective not only in developing early childhoods’ play but also in helping teachers overcome their teaching limitation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lay classrooms using humanoids due to functional problems with humanoids and problems with infrastructure and costs. La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language recognition and response functions of humanoids need to be supplement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humanoids, and that teachers who provide play using humanoids need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educat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cquir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use of humanoids. This study has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play using humanoids that emerged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mplementary directions for using humanoids well in the fiel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