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유아교사의 챗지피티(ChatGPT) 활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Using ChatGPT
김윤나 ( Kim Yunna )
DOI 10.22155/JFECE.30.3-4.185.212
UCI I410-ECN-151-24-02-089020408

본 연구는 최근 전세계를 놀라게 한 생성형 인공지능인 ChatGPT를 유치원 교사들이 어떻게 활용하고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여, ChatGPT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 6인을 선정하여 2023년 6월 7일부터 7월 28일까지 연구참여자별 2회의 개별 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ChatGPT를 활동이나 놀이계획뿐 아니라 그밖의 학급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경험은 ‘심리적 거리감을 극복한 다가섬’, ‘인간적인 기계’, ‘나를 넘어서게 하는 ChatGPT’, ‘생각의 정리 혹은 중복된 정보’, ‘더욱 실감한 실천적 지식의 힘’, ‘내 것 혹은 아직은 내 것 아님‘, ‘ChatGPT의 한계로 인한 아쉬움’이라는 주제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ChatGPT 교육현장 적용을 위해 연수나 전문적 학습공동체 내 배움의 기회 확대, 환경적 지원 및 인식의 변화를 이야기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ChatGPT가 나아가야 할 방향, 미래 교육현장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kindergarten teachers’ utilization and experiences with ChatGPT, recently considered as a remarkabl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discussing its potentia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x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lected for interviews from June 7 to July 28, 2023. As a result, first, teachers used ChatGPT not only for activities and lesson plan but also diverse areas within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eachers’ experiences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bridging psychological distance,’ ‘human-like machine,’ ‘transcending oneself through ChatGPT,’ ‘organizing thoughts or redundant information,’ ‘realizing more abou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mine or not mine, yet,‘ and ‘disappointment due to the limits of ChatGPT.’ Third, kindergarten teachers discussed the need for training, expanding learning opportunities, environmental support, and perception changes for ChatGPT’s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ChatGPT usage and in-depth researches using generative AI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