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 소화의 최종 산물인 메탄 가스는 유기물이 혐기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는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 메탄 가스는 여러 장소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므로, 높은 함량의 메탄 가스를 얻는다면 별도의 정제과정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함량의 메탄가스를 얻기 위한 기초연구로 메탄 순도와 연관관계가 있는 변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실규모 혐기소화조의 물리화학적 측정항목과 미생물, 그리고 메탄 순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전체 소화된 기질의 지방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메탄 순도가 나타났으며, 그 때 수소이용성 메탄균 (Hydrogenotrophic methanogen)이 아세트산 이용성 메탄균 (Aceticlastic methanogen) 보다 우점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이 분해되어 메탄이 되는 과정에서 어떤 중간과정이 메탄 순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질 내 지방이 많을수록 수소가스 발생량이 증가하고, 이는 베타 산화과정에 의해서 지방이 탄소수가 많은 지방산으로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