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Himawari-8 정지궤도 위성 영상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산불 탐지의 효율적 방안 제시
Efficient Deep Learning Approaches for Active Fire Detection Using Himawari-8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s
이시현 ( Sihyun Lee ) , 강유진 ( Yoojin Kang ) , 성태준 ( Taejun Sung ) , 임정호 ( Jungho Im )
UCI I410-ECN-151-24-02-088969620

산불은 예측이 어려운 재해이기 때문에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지 궤도 위성 영상은 광역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산불 탐지 분야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위성 영상 기반 산불 탐지 알고리즘은 밝기 온도의 통계량 분석을 통한 임계값 기반으로 이상치를 탐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강도가 약한 산불을 탐지하기 어렵거나, 적절한 임계값 설정의 어려움으로 일반화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어 최근에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탐지 알고리즘들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random forest, Vanilla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U-net 구조 등의 비교적 간단한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위성인 Advanced Himawari Imager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와 호주를 대상으로 State of the Art (SOTA)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산불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SOTA 모델은 EfficientNet과 lion optimizer를 적용하여 개발하고, Vanilla CNN 구조를 사용한 모델과 산불 탐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EfficientNet은 동아시아와 호주에서 0.88 및 0.83의 F1-score를 기록함으로써 CNN (동아시아: 0.83, 호주: 0.78)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입증하였다. EfficientNet에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weighted loss, equal sampling, image augmentation 기법 적용 시, 동아시아와 호주에서 각각 0.92와 0.84의 F1-score를 기록함으로써 적용 전(동아시아: 0.88, 호주: 0.83)에 비하여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SOTA 딥러닝 기법의 산불 탐지에의 적용 가능성과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방향은 향후 산불 탐지 분야에 대한 딥러닝 적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wildfires are difficult to predict, real-time monitoring is crucial for a timely response.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s are very useful for active fire detection because they can monitor a vast area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e.g., 2 min). Existing satellite-based active fire detection algorithms detect thermal outliers using threshold value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brightness temperature. However,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suitable thresholds for such threshold-based methods hinders their ability to detect fires with low intensity and achieve generalized performance. In light of these challenges, machine learning has emerged as a potential solution. Until now, relatively simple techniques such as random forest, Vanill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U-net have been applied for active fire detec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active fire detection algorithm using state-of-the-art (SOTA) deep learning techniques using data from the Advanced Himawari Imager and evaluated it over East Asia and Australia. The SOTA model was developed by applying EfficientNet and lion optimizer,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odel using the Vanilla CNN structure. EfficientNet outperformed CNN with F1-scores of 0.88 and 0.83 in East Asia and Australia,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was better after using weighted loss, equal sampling, and image augmentation techniques to fix data imbalance issues compared to before the techniques were used, resulting in F1-scores of 0.92 in East Asia and 0.84 in Australia. It is anticipated that timely responses facilitated by the SOTA deep learning-based approach for active fire detection will effectively mitigate the damage caused by wildfires.

1. 서론
2. 연구 지역 및 자료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사사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