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동해안 산불피해 사례기반 격자체계를 활용한 산불위험분석
Forest Fire Risk Analysis Using a Grid System Based on Cases of Wildfire Damag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김구윤 ( Kuyoon Kim ) , 이미란 ( Miran Lee ) , 곽창재 ( Chang Jae Kwak ) , 한지혜 ( Jihye Han )
UCI I410-ECN-151-24-02-088969479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크기도 대형화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불은 매년 100 ha 이상 산불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90%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지역은 건조한 대기, 양간지풍 등 산불에 취약한 기후와 침엽수림의 산림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험성 예측, 산불 위험도 산정 등 다양한 산불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기상 및 산림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위험 분석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 인접 지역에 대한 관리는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산림 인접한 주택 및 시설물들은 산불에 의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산림 인근 지역에서 영향을 받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격자기반 산불 관련 재난위험지도를 작성하고 강릉 산불 사례 기반으로 산림지역과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등급 차이를 비교하였다.

Recently, forest fires have becom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size of forest fires is also increasing. Forest fires in Korea continue to cause more than 100 ha of forest fire damage every year. It was found that 90% of the large-scale wildfires that occurred in Gangwon-do over the past five years were concentrated in the east coast area. The east coast area has a climate vulnerable to forest fires such as dry air and intermediate wind, and forest conditions of coniferous forests. In this regard, studies related to various forest fire analysis, such as predicting the risk of forest fires and calculating the risk of forest fires, are being promoted.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risk analysis for forest areas in consideration of weather and forest-related factors, but studies that have conducted risk analysis for forest-friendly areas are still insu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adjacent areas is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Forest-adjacent houses and facilities are greatly threatened by forest fires. Therefore, in this study, a grid-based forest fire-related disaster risk map was created using factors affected by forest-neighboring areas using national branch numbers, and differences in risk ratings were compared for forest areas and areas adjacent to forests based on Gangneung forest fire cases.

1. 서론
2. 연구자료 및 방법
3. 데이터 구축
4. 재난위험지도 작성결과 및 검증
5. 결론
사사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