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프로이트 전집의 재해석 : 삶의 예술 해석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
Rereading Freud’s Complete Works: Psychoanalysis as the Hermeneutics of the Art of Life
김서영 ( Suh-young Kim )
현대유럽철학연구 71권 157-193(37pages)
UCI I410-ECN-151-24-02-088966754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여성 정신분석학자로서 개별적 경험의 장 속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논문은 기존의 정신분석학이 완결로서의 해석을 지향하며 왜곡되는 과정을 밝히고, 진정한 정신분석의 해석은, 언제나 미완의 상태로 삶을 향해 나아가는 운동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프로이트가 『꿈의 해석』출간 이후 강조하기 시작하는 전형적 상징은 환자의 개별적 경험을 배제하는 계기로 작용하며, 이와 함께 그가 늑대 인간 사례 분석의 초고 작성 4년 후에 추가하는 두 부분의 삽입구는 계통발생학적 기원에서 보편적 해답을 찾는 반정신분석적 행위의 일환으로서, 환자의 개별성과 고유성을 삭제하게 된다. 논문은 정신분석의 해석이 개별적 경험을 배제하게 되는 계기들을 추적한 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청년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요청하고, 전통적 해석과 겨루며 새로운 시선으로 프로이트 전집을 재해석 할 것이다. 그 중심에 자유연상의 진정한 의미인 ‘착상’(Einfall)이라는 개념을 배치하고, 정신분석의 해석을, 과거와의 단절로서의 ‘착상’(Einfall)과 과거와의 연결로서의 ‘연상’(Assoziation)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순환적 운동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개별적 경험 속에서 증상을 해석하는 청년 프로이트와 그의 첫 책, 『실어증에 관하여: 비판적 연구』(1891)로 복귀하여, 표상 분석을 통한 증상의 이해에서 어떻게 정신분석학이 탄생하는지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꿈꾼 이의 과거, 현재, 그리고 소원(Wunsch)으로서의 미래의 가능성이 융합되는 ‘꿈’을 가다머의 놀이 개념 속에서 이해하고, 꿈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해석자가 그의 주관적 해석(Deutung)을 통해 추방되었던 표상을 되찾아 오며 자기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지 설명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학은 남근, 남근선망, 거세에 관련된 성욕론이 아니며, 그보다 죽음과 삶 사이의 투쟁 속에서 매 순간 의미를 창조하며 삶의 방향으로 운동해 나아가는 삶의 예술 해석학(Hermeneutik der Lebenskunst)임을 드러낼 것이다.

The central axis of psychoanalysis has been built around the later works of Sigmund Freud, in which the id, the ego, and the super-ego were structured.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two of Freud’s earlier texts: his first book on aphasia and one of his earlier writings on hysteria. The first book was published in 1891 and was not included in either the Gesammelte Werke or the English Standard Edition, while the second appeared in 1888 and was included only in the English Standard Edition.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newly map Freudian psychoanalysis with an extended scope that places the works of young Frued at the center. It will apply the new map to the Standard Edition, and to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n particular, in the search for a practical way to apply psychoanalysis to everyday life. This article divides Freudian psychoanalysis into two parts: i) the young Freud, who distorts uniform diagnosis and the anatomical doctrine, and ii) the late Freud, who distorts his earlier accomplishments by the contents of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a “non liquet.” The first emphasizes the invisible and endures the tension arising from incompleteness and ambiguity, whereas the second searches for a clear answer by returning to the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The first examines the unique idea in the dreamer’s unconscious, but the second turns to the typical dream to offer the dreamers the meaning of their dream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ractical value of Freudian psychoanalysis can only be demonstrated clearly when one leaves the second characteristic and moves back toward Freud’s earlier mapping of the mind via the system of “ideas” (Vorstellungen). It is not the significance of the phallus but the true meaning of the “ideas” and their “free associations”(as an “Einfal”) to which one should return for the practical utilization of psychoanalysis in everyday life. To demonstrate a way to accomplish thi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will app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nd the beliefs of young Freud to dream analysis. In this process, this paper will attempt to place psychoanalysis within the discipline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try to use related terms, such as play, participation, fusion of horizons, and understanding. The paper will argue that a dream is a psychoanalytic example of the “play” that enables the ongoing dialectical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In this process, the paper will show that psychoanalysis is another name for the hermeneutics of the art of life, whereby one moves toward life.

1. 단절과 탈바꿈으로서의 정신분석학적 자유연상
2. ‘Non Liquet’에 전제된 단일한 내용과 전형의 문제
3. 청년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위하여
4. 『꿈의 해석』에 나타난 전집의 지도
5. 꿈의 해석: 시체 얼굴을 떠나며
6. 삶을 향한 긴 여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