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층간소음 분쟁과 이로 인해 발생한 살인범죄의 실태를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최근 11년간(2013년 2023년) 층간소음 분쟁에서 비롯된 살인범죄 형사판결문 69건이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초 통계분석과 군집분석이 수행되었다. 기초분석 결과 층간소음 살인범죄의 발생 건수는 연평균 7건으로, 절반 이상의 범죄자가 비음주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분석으로 층간소음 살인유형을 분류한 결과 (1) 정신질환 병력을 가진 가해자가 지속적으로 스토킹행위를 하다 다수의 피해자를 즉각적으로 살해하는 경향을 보이는 “다수피해 이상살인” 집단과, (2) 술에 취한 범죄자가 우발적인 분노로 현장에 있던 피해자를 살해하는 “단일피해 음주살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층간소음 살인범죄의 실효적 대응방안 수립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nature and patterns of homicide crimes resulting from conflicts over inter-floor noise. The research data consisted of 69 criminal verdicts related to homicide crimes stemming from inter-floor noise disputes over the past 11 years (2013-2023). The analysis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python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inter-floor noise-related homicide cases was seven, with over two-thirds of the offenders committing the crimes unintentionally while sober. The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 types of inter-floor noise-related homicide criminals into two groups: (1) the "multiple-victim abnormal killings" group, characterized by perpetrators with a history of mental illness who persistently engaged in stalking and immediately killed multiple victims present at the scene and (2) the "single-victim alcohol-related killings" group, involving intoxicated offenders who spontaneously killed a single victim present at the scene due to sudden anger. Lastly, the policy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