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주된 연구 대상은 새벗사의 『어린이 독본』(1928.7)이다. 새벗사가 발행한 어린이 잡지 『새벗』(1925.11~1933.3)에 수록했던 글은 물론, 내부 필진이었거나 외부 필자로 참여한 이들의 글을 엮어 만든 독본 텍스트이다. 아직 『새벗』의 전체 면모를 온전히 파악기에는 제한이 있으나 이글에서는 현재까지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새벗』의 서지 목록을 최초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새벗』을 만든 ‘새벗회’의 실체와 필진을 실증하고, 동시대 비슷한 성격의 잡지 및 단체와 비교하였다. 아울러 『어린이 독본』의 수록 작품 및 필진 분석을 통해 잡지 『새벗』이 교류와 연대의 개방성을 기초로 하였다는 점, 새벗사의 『어린이 독본』이 민족적 문예 기획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새벗사 『어린이 독본』은 당대 아동문화운동의 장에서 대립과 경쟁을 넘어 공존과 연대를 선취한 귀한 사례다. 방정환과 잡지 『어린이』는 천도교-개벽사-소년회-색동회로 이어지는 배후를 중심으로 1920년대 아동문화운동의 융성기를 선도하였다. 잡지 『어린이』에 연재했던 글 가운데 방정환이 선별해서 엮은 「어린이 독본」은 ‘자립적 도덕 주체’를 강조하면서 잡지 『어린이』가 주창한 아동중심주의와 천사동심주의 어린이상을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동인회 수준의 새벗회가 만든 잡지 『새벗』은 새벗회-꽃별회-별탑회를 위요하는 교류와 연대를 기초로 새벗사 『어린이 독본』을 출판하였는바, 이 독본 텍스트는 식민지 당대 교육과 계몽을 위한 ‘민족적 문예 주체’로 어린이를 형상화하는 경로, 즉 어린이 문예 독본을 기획하였다는 점에서 독본문화사적 의미를 가진다.
The main research object of this article is new friends publisher 『Children’s Reading Books』 (1928.7). It is an original text that weaves together the writings of internal and external writers as well as the writings of the children’s magazine 『New Friends』 (1925.11~1933.3) published by the company. While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full scope of 『New Friends』, this article collects and organizes the data to date and constructs the first bibliography of 『New Friend』. It also demonstrates the existence and contents of 『New Friends』 and compares it to similar magazines and organizations of the same natur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and writings contained in 『Children’s Reading Books』, it was argued that the magazine 『New Friends』 was based on the openness of exchange and solidarity, and that new friend publisher 『Children’s Reading Books』 carried out ethnic literary planning.
The magazine 『Children’s Reading Books』 is a valuable example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beyond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in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of the time. Bang Jeong-hwan and the magazine 『Child』 led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in the 1920s, centered on the background of Ch’ŏndogyo, Gaebaeksa, Boys’ Association, and Sec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hild』, Bang Jeong-hwan’s selected “Children’s Readings” emphasized “self-reliant moral subjects” and showed the child-centeredness and angelic image of children advocated by the magazine 『Child』 In comparison, the magazine 『New Friend』 created by the Donginhoe-level Saebyeol Society published the Saebyeol Society 『Children’s Reading Books』 on the basis of exchange and solidarity between the Saebyeol Society, Flower Society, and Star Pagoda Society, and this reading text has a unique cultural history significance in that it was designed as a pathway to shape children as “national literary subjects” for education and enlighten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e., a children’s literary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