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최정원 , 문호영 , 전진아 , 박용천
기본연구보고서 2021권 1-492(492pages)
UCI I410-ECN-151-24-02-08896080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 구축에 있다. 인간의 발달과정 중 정신건강이 중요하지 않은 시기는 없지만, 특히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이 시기에 간과되거나 방치된 정신건강 문제가 비단 청소년기는 물론 청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남은 생애주기 동안 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문 치료를 해야 하는 정신질환이 10대 중·후반부터 24세 이전인 청소년기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청소년기 정신건강 문제의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에서는 청소년의 불안정한 정서와 문제 행동을 청소년기의 당연한 성장통으로 가볍게 간과하거나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을 의식해 보호자가 적극적인 대처를 망설여 치료의 적기를 놓치는 문제적 행태가 지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청소년기 정신건강 문제를 치료하는 전문 인프라와 인력의 부족, 더 나아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를 보여주는 기초자료의 부재 등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데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18년에 보건복지부 장관 앞으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창한 연유도 이러한 문제적 현실에서 비롯됐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이 직면한 정신건강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전국 초중고에 재학 중인 학생 청소년 5,937명과 학교 밖 청소년 752명 등 총 6,689명의 10대 청소년을 표집하여 ADHD, 자해, 신체화, 불안, 우울, 스트레스, 자살, 그리고 COVID-19에 의한 외상성 고통 등 청소년기에 집중되는 그리고 작금의 COVID-19 사태가 유발하는 주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노출 실태,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에 영향력을 미치는 보호 및 위험 요인에 대한 노출 실태, 그리고 주요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지와 경험 실태 등을 온라인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표준화와 타당화를 거친 임상 척도를 이용해 학교 안팎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을 전국 단위로 실측한 미증유의 기초자료 구축과 더불어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공무원, 연구원, 그리고 학계와 현장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공공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행 청소년 관련 정신건강 사업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향에 대해 의견조사와 자문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태조사 결과와 전문가 의견조사의 결과를 취합해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essential data to understand Korean teenagers' mental health status objectively. There is no period in human development when mental health is not essential. However,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is vital because mental health problems overlooked or neglected during this period can hinder individual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for the rest of their life cycle, including adolescence, adulthood, and old age. In practice, it is reported that mental disorders that require specialized treatment are concentrated in adolescence, from the mid-late teens to the age of 24. Despite the seriousness and importance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adolescence, adolescents' unstable emot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are often overlooked as natural growing pains of adolescence, or guardians are conscious of the stigma to mental illness and hesitant to respond actively, missing the right time for treatment. That kind of problematic behavior continues in this society. In addition, the lack of specialized infrastructure and manpower to treat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absence of reliable data showing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re acting as obstacles in protecting and promot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s disturbing reality cause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propose a plan to prepare measure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6,689 teenagers, including 5,937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752 out-of-school adolescents,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faced by teenagers. An online self-filling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exposure to major mental health problems centered on adolescence, such as ADHD, self-harm,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stress, suicide, and traumatic pain caused by COVID-19, the state of exposure to protection and risk factors affecting health problems, and the state of awareness and experience of major mental health services, Using standardized and validated clinical scales, unprecedented primary data were constructed that measured the mental health level of teenagers in and outside of school nationwide.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opinion surveys and consultations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youth-related mental health projects in the public domain, targeting public officials, researchers, academics, and field experts related to youth mental health and improving them. Lastly, this study presented policy tasks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mental health of teenager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fact-finding surveys and expert opinion survey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