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의 중장년층의 추억을 자극하는 정취가 가득한 <오징어 게임>이 국내 시청자를 넘어서 서구 시청자의 공감을 이끄어 낸 배경을 시각 언어에서 고찰했다. 이를 위해 <오징어 게임>의 미장센의 가장 큰 특징으로 언급되는 동화적인 공간을 초현실주의의 주요 기법인 ‘병렬’에서 조명했다. 다음으로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마그리트의 <위험에 처한 암살자>(1926-27)와 그의 예술세계를 토대로 ○△□이 표상하는 서바이벌 게임 공간의 성격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우하우스의 상징으로 작동해 온 ○△□이 <오징어 게임>에서 생존 서바이벌 게임 공간의 상징에서 나아가 자본 아래 인간의 생명에 대한 존엄은 사라진 채 불평등이 만연한 신자유주의의 표상으로 그 의미의 층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1mm의 장벽’을 넘어 세계인이 공감하는 K-콘텐츠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시각 언어의 모빌리티를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of visual language in Squid Game, which, in the course of eliciting empathy from Western viewers, has adopted Korean-style mise-en-scène that brings back fondable memories of the past in many middle-aged Koreans. To that end,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fairytale space, which has been mentioned as the most notable feature in the mise-en-scène of Squid Game through the lens of ‘parallelism’, one of the key techniques of surrealism. Next, based on the work of René Magritte,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surrealism, The Menaced Assassin and the world of his work, we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represented by the ○△□ space. Finally, we contemplate on ○△□, which, having served as a symbol of Bauhaus, goes beyond the implications of a mere survival game space in Squid Game, into creating a new layer as the symbol of neoliberalism where inequality runs rampant and the dignity of human life has disappeared in the name of capitalism. Through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quid Game was able to overcome the ‘1mm barrier’ through the mobility of visual language and proceed to become the K-content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can relat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