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 은둔형 외톨이 청년이 은둔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자립을 이루어가는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참여자 인호(가명)는 28살의 은둔형 외톨이 청년이며, 2022년 9월 6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1회 2시간, 총 5회의 인터뷰와 수시로 진행된 온라인 대화를 통하여 자료를 주로 생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로 진행되었고, 연구 텍스트를 작성할 때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이야기를 풀어내며 인호의 경험을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들은 인호가 자발적 의지에 따라 사회적, 경제적, 정서적 자립을 이루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자립을 이루어가는 경험의 의미를 첫째, ‘폭력 피해자의 삶에서 벗어나 자기삶의 주인으로 나아감’, 둘째, ‘자신의 재능과 꿈을 찾아감’, 셋째, ‘자신의 부족함을 대면하고 마주함’, 넷째, ‘동료들과 연대감을 형성함’으로 재구성하였다. 인호의 이야기가 은둔형 외톨이나 그 가족들에 대한 심리상담이나 독서치료 현장에서 그들을 이해하고 자립을 지원하는데 도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exploration of a reclusive loner youth’s experience and meaning of voluntary self-reliance in seclusion. The research participant, Inho (a pseudonym), is a 29-year-old reclusive young man, and the data were generated primarily through five interviews of two hours each between September 6, 2022, and May 31, 2023, as well as occasional online conversa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when writing the research text, the story was told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o understand Inho’s experience and construct its meaning. Consequently, Inho’s narrative was reconstructed with the following meanings: 1) leaving the life of a victim of violence to become the master of one’s own life; 2) discovering one’s talents and dreams; 3) facing one’s own deficiencies; and 4) building a sense of solidarity. Inho’s experience of achieving self-reliance was based on his individual will to be self-reliant and was achiev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self-reliance. We hope that Inho’s story will help psychological counselors and reading therapists who work with reclusive loners and their families to understand them and support their indepe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