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산별노조의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촉발된 집단학습이 조직 내부에서 경쟁하는 의견집단 간의 민주적인 합의를 이뤄내는 메커니즘과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필자들은 조직화 전략 수립 과정에 직접 참가하면서 연구대상에 대한 참여적인 관찰을 하였다. 전국보건의료노조는 2022년 3월 노조 현장기획단과 외부 전문연구자가 참여한 협업 연구 네트워크를 구성해 산별노조 조직화 전략을 수립하고, 같은 해 11월 말 정책대회를 열어 이를 논의하였으며, 2023년 2월 대의원대회에서 조직화 전략과 사업계획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과정추적 기법을 활용한 집단학습 모형에 따라 협업 연구 네트워크 구성에서 조직화 전략 채택에 이르는 결과 사이의 사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학습의 단계는 정보 획득, 정보 해석, 지식 확산을 거쳐 행위자의 인식 및 행동 변화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보건의료노조 중앙과 현장기획단, 그리고 전문연구자가 결합한 협업 연구 네트워크는 집단학습을 촉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쟁하는 의견집단 간의 합의를 이뤄내는 가교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산별노조의 조직화 전략 채택과정에서 간부들 사이에서의 조직화 범위 설정과 환경변화에 대응한 조직의 유지와 확장 병행 전략에 대한 공유된 이해 형성과정 및 보건의료노조 대의원대회에서 채택된 2022년과 2023년 사업계획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협업 연구와 집단학습 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and process by which collective learning triggered by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industrial unions achieves democratic consensus among opinion groups competing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subject of the study,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KHMU) held a National Strategy & Policy Conference in November 2022 to discuss the organizational strategies. It adopted the organizational strategy and its plans at the National Delegate Conference held in February 2023. This study analyzed the events between the results of KHMU's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to the adoption of strategy according to the collective learning model using process tracking techniqu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ge of collective learning developed into changes in the actor's perception and behavior through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interpretation, knowledge diffusion. In this process, a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that combines the center of KHMU, field planning team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not only triggered collective learning but also served as a bridge to reach consensus among competing opinion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