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경남 거제시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숲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n School Forests of Elementary Teachers in Geoje-city, Gyeongnam-do
강미영 ( Kang¸ Mee-young ) , 문현식 ( Moon¸ Hyun-shik ) , 전수경 ( Jeon¸ Su-gyeong ) , 정성훈 ( Jeong¸ Seong-hun )
DOI 10.26840/JKI.35.3.131
UCI I410-ECN-151-24-02-088954192

본 연구는 경남 거제시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숲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학교숲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는 거제시의 학교숲이 조성된 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각각 56부, 77부였다. 분석 결과, 학교숲 조성학교의 교사들은 학교숲 조성사업에 대해 알고 있다는 비율이 일반 학교의 교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학교숲 조성 시 교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의견은 24%로 낮았다. 또한, 학교숲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았다. 학교숲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학교숲 조성 학교의 교사들은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일반 학교의 교사들은 다양한 식물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학교숲 활용 및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양쪽 교사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이었다. 교사들의 학교숲 이용목적은 주로 휴식과 산책, 생태학습 장소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숲의 필요성과 활용 정도는 높았다. 그러나 학교숲을 학습 공간으로서의 요구도는 낮았다. 환경교육 참여 의향은 두 집단의 교사 모두 높았고, 학교숲 활용 시 아이들에게 가장 기대가 되는 것은 환경교육보다는 심리적 안정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eoje City, Gyeongnam, about school forests and to provide essential data creating and operating desirable school forests in the fu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in schools with school forests and general schools in Geoje City, and 56 and 7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in the school forest schools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school forest project than teachers in the general schools. Still their opinion that teachers should be the center of the school forest was lower at 24%. They also had more negative opinions about opening the school forest to residents. To effectively utilize the school forest, teachers in forest schools said that they needed to maintain it, and teachers in regular schools said that they needed a variety of plants, but both types of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forest. Teachers' use of the school forest was mainly for relaxation, walking, and ecological learning, and the need and use of the school fores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 However still, the need for the school forest as a learning space needed to be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 for both groups of teachers, and children's expectations for school forests were more psychological than ecological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