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Candidate
지하출토문헌의 '與'자 연구 - 상박초죽간 공자어록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Use of Preposition 'Yu與' Confucius’ Speech inscribed on the Chu Bamboo Slips stored in Shanghai Museum
袁曉鵬 ( Yuan¸ Xiaopeng )
건지인문학 vol. 38 215-230(16pages)
UCI I410-ECN-151-24-02-088945273

≪上海博物馆藏战国楚竹书(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이하≪상박초간(上博楚简)≫으로 간칭) 중 孔子語錄文(공자어록문)을 선택하여 虛詞“與”자의 용법을 역사적 방법과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허사는 문언문과 어록문을 구별하는 중요한 표지이기도 하다. 허사는 어록문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지이다. 공자어록문 중 허사의 연구는 당시의 공통적 언어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언어 중에서도 공자어록문의 허사는 갑골문이나 금문과는 또 다른 전국시기 어록체만이 지닌 독자적이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어록체의 언어는 언어의 변천, 화자의 의사표현의 풍부함 및 정서적 요구에 따라 실제 대화 교류하는 과정 중에서 활발하게 출현 하였다. 본 논문은 이 문헌자료만이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자어록편에 출현하는 허사는 전국시기의 언어현상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hanghai museum salvaged a batch of bamboo slips from Hang Kong Cultural relics market, which was unearthed in Chu region, and could be dated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his batch of bamboo slips includes more than 100 kinds of Warring States books, most of which is percious document not pass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cluding Confucianism, Taoism, Militarism and other types of precious document. Out of the batch of bamboo slips, there are dozens of document related to Confucius'speech. There have been 15 kinds of the document that have been released already. Preposition’Yu與’inConfucius’speech inscribed in Chu Bamboo slips stored in Shanghai Museum mainly introduces volatile components and related components. In the structure ‘Verb+Yu與+Object’, volatile components are mainly personal pronoun, while related components are mainly nouns and a few place nouns and verbs. When Confucius preached morality, he used Yayan (elegant language of scholars), a very common language at that time, which presents a systematic character of the social language in that time.

1. 緖論
2. ‘與’字的用法
3. 結論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