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Accredited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Factors of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Self-Esteem of Group Home Adolescents
전준현 ( Jeon¸ Jun-hyeon ) , 이수천 ( Yi¸ Soo-cheon )
UCI I410-ECN-151-24-02-088943948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55개의 그룹홈 2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 그룹홈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중 남녀 집단 간 차이가 나는 요인은 학교 교사의 지지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친구의 지지 요인은 남자와 여자 모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그룹홈 가족의 지지가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셋째, 통제변인 중 성적은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그룹홈 청소년들에게는 친구 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여자 청소년들에게는 그룹홈 구성원과의 관계개선 프로그램과 학습 도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의 요인이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사이에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므로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차별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support factors which affect the self-esteem of a group of some 231 group home adolescents, aged between 11 to 20 years ol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55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f male adolescents from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dolescents. Second, the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tended to affect the self-esteem of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provide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like gender, school grade and residential period at the group home were controlled. Third, the social support from group home family also tended to affect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attention on ways of helping both male and female group home adolescents in order to better promote peer relationship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ly differentiated programs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 home environm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