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시청행위는 대부분의 산업국가 10대 청소년들에게 보편적인 여가행위이다. 텔레비전은 청소년들에게 역기능과 순기능을 동시에 한다. 이러한 TV시청시간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TV시청행위는 큰 영향을 준다고 한다. 그러나 이전 연구는 일부 연령대나 특정 지역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왜곡 가능성이 높은 직접 보고(self-report) 방식으로 모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이 2004년 실시한 생활시간자료를 분석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TV시청시간이 10대 청소년의 TV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TV시청시간이 많을수록 자녀의 TV시청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는 자녀양육에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 차이가 있음을 암시한다. 어머니가 자녀의 사회화 과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데 비해 아버지는 자녀에게 경제적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주로 맡는다.
Most children watch TV in industrialized countries. Watching TV may have bothdetrimental and beneficial effects upon teenagers.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done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potentially affect children's TV watching time and have concluded tha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V watching time are very significant. However, previous studies are methodologically flawed in that (1) they focus on only limited age ranges of children from certain areas or (2) they examine self-reported data that are often biased. Using the data from a sample of 3,816 teenagers of the 2004 National Time Use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test whet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V watching time influence children's TV watching time. We find that the hig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is, the less time their children spend watching TV. Moreover, the more time parents spend watching TV themselves, the more time their children also spend watching TV. Ourresults imply that there is division of labor in children-rearing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t seems that mothers are directly involved in children's socialization while fathers may provide their children with some economic stability and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