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은 활주로 수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기존 공항의 운영 개선을 위해 활주로 점유시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서 사례 공항의 특정일에 대한 항공기 운영 현황 데이터를 가지고 개선의 효과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개선안에 대한 분석은 FAA REDIM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개선 적용 기능을 활용하여 고속탈출유도로가 없는 공항에 고속탈출유도로를 추가함으로써 나타나는 활주로 수용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법은 활주로 개선 방안의 도출과 효과성에 대한 사전 예측에 적용할 수 있으며, 향후 진행되는 공항 건설 사업 또는 공항의 개선 사업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runway occupancy time of landing aircraf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runway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runway occupancy time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xisting airports. In order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using aircraft operation status data for specific days at the case airport. The FAA REDIM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mprovement plan, and the improvement application function of the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 of improving runway capacity by adding a rapid escape taxiway to an airport without a rapid escape taxiway. This study's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derivation of runway improvement measures and preliminary prediction of effectiveness, and it presents cases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or airport improve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