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생태·자연도 등급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남도 일대를 대상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Grade Changes in Ecology and Nature Map - Focusing on Gyeongsangnam-do Area -
강다인 ( Da-in Kang ) , 이정현 ( Jung-hyun Lee ) , 윤혜연 ( Hye-yeon Yoon ) , 박현수 ( Hyun-su Park )
UCI I410-ECN-151-24-02-088938554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생태·자연도와 2023년 5월 생태·자연도를 활용하여, 경상남도 일대의 시기별 등급변화 양상과 등급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생태·자연도 면적은 2021년에 비해 2023년에 1등급 권역 1.7% 감소, 2등급 권역 0.5% 증가, 3등급 권역 1.1% 증가, 별도관리지역은 0.2% 증가하였다. 생태·자연도 등급 상향 요인은 식생 분야 조사의 정밀도 향상,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조사기법 고도화 및 조사지점 증가, 습지 조사 인벤토리 증가 및 서식처 질 향상, 지형조사 자료 축적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최신장비 도입 등을 통한 조사기법 개선으로, 과거 미발견된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평가 요소의 발굴이 등급 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생태·자연도 등급 하락 요인은 생태·자연도 작성지침 개정, 최신 토지피복지도 및 임상도 반영으로 인한 산림 및 습지 경계조정, 벌채지 증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DB 갱신 등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는 국제적 실천 목표에 따른 보호지역 확대 및 유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used the ecology and nature map of March 2021 and the ecology and nature map of May 2023 to analyze the pattern of grade change and factors of grade change by period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ea of ecology and nature map in the study a rea decreased by 1.7% in the 1st grade area, increased by 0.5% in the 2nd grade area, increased by 1.1% in the 3rd grade area, and increased by 0.2% in the separately managed zones in 2023 compared to 2021.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ecology and nature map ratings include improved precision in vegetation surveys, advancement of survey techniques for endangered wildlife, and increased survey poi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etland survey data increased, habitat quality improved, and landform survey data was accumulated. Among them, the improvement of survey techniqu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latest equipment and the discovery of previously undiscovered ecology and nature map 1st grade area evaluation factors served as a factor in raising the grade. Meanwhile, the factors that led to the decline in the ecology and nature map grades were revision of the ecology and nature map drawing guidelines, update of the endangered wildlife database, adjustment of forest and wetland boundaries due to reflection of the latest land cover map and forest type map, and increase in deforestation areas.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and maintaining protected area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action goals, and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creation and use of ecological and nature maps.

1. 서론
2. 연구지역, 사용자료 및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