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보건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 분포 변이에 대한 연구: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초기진료기관을 대상으로
Evolution of Healthcare Service Disparities: A Case Study of Primary Care Services in Korea, 1995-2021
김현 ( Hyun Kim ) , 송예나 ( Yena Song )
UCI I410-ECN-151-24-02-088936149

우리나라의 국민건강보험은 빠른 시간에 보편적 의료시스템을 정착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연령대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차이는 지속되고 있으며,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와 같은 핵심의료 서비스에서 이러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것은 큰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다. 진료기관 접근에 대한 불평등은 연령대만이 아니라 지역, 특히 도시와 농촌 사이에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초기진료기관의 분포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핀다. 다양한 불평등 지수와 공간통계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1997년 IMF 경제위기, 2008년 금융위기, 그리고 2020년의 COVID-19 공중보건 위기를 겪으며 불평등이 심화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의료기관의 불균등 분포에 큰 변화가 온 시기도 밝혀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변화에는 유소년이나 전체 인구 분포보다는 고령인구의 분포가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인구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핵심적인 의료자원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이러한 노력은 미래의 경제적 충격에도 적절한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South Korea's universal healthcare system has garnered attention in public health, the issue of inequality in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has incessantly become a significant concern. The focus of this concern is primarily on essential healthcare services, encompassing fundamental aspects of healthcare such as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and pediatric and adolescent care. This inequality is not limited to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both junior and senior demographics) but also extends to potential disparities in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particularly in urban and rural context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disparities in primary healthcare service resources in South Korea's evolving economic landscape between 1995 and 2021. We utilize a set of inequality indices with a spatial perspective through geographic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concerns about inequality have been amplified during various economic events, including the IMF crisis in 1999,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These years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hases that have contributed to manifesting spatial disparities in primary healthcare provis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senior-aged population rather than junior or all population groups. Our findings underscore the pressing need to addres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essential healthcare resources as part of preparedness for potential economic impacts, requiring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interconnected nature of demographic and spatial dimensions in healthcare services.

1. Introduction
2. Inequality of Healthcare Access in Korean Contexts
3. Case Study and Data
4. Methodologies
5. Results and Discussion
6. Final Remark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