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우리나라 1차 의료기관의 위식도역류질환 진단 및 치료 실태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t the Primary Health Care Clinics in Korea
김영선 ( Young Sun Kim ) , 강동훈 ( Dong Hoon Kang ) , 박현철 ( Hyun Chul Park ) , 오태훈 ( Tae Hoon Oh ) , 김용식 ( Yong Sik Kim )
UCI I410-ECN-151-24-02-088931788

목적: 국내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유병률 및 치료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실제 환자들의 가장 많은 진료가 시행되는 1차 의료기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위식도역류질환 연구는 건강검진자료 또는 2, 3차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1차 의료기관에서의 위식도역류질환 진단, 치료 약제의 선택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대규모 다각도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한국의 542개 병원에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의 18,010명의 의무기록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중 진단에 내시경 검사가 사용된 경우는 16.11%이며, 소화기내과에서 시행된 빈도(28.85%)가 가장 높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15±14.83세였으며, 음주력을 가진 환자의 비율은 56.71%였다. 평균 체질량지수와 비만 1-3단계에 있는 환자 비율은 미란성역류질환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란성역류질환의 중증도는 대다수가 경증이었다. 위식도역류질환 증상은 가슴쓰림, 위산역류, 가슴통증이 주를 이루었다.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부분에서 약물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PPI가 주된 약물로, 주성분 중 Esomeprazole이 가장 많이 처방되었고, PPI 단독 처방 비율이 높았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증상 호전을 보인 비율은 미란성역류질환군(75.91%)과 비미란성역류질환군(74.36%)에서 내시경 검사 없이 진단한 위식도역류질환군(63.89%)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냈다. 결론: 국내 1차 의료기관에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의 진단에 내시경 검사가 사용된 비율은 16.11%였고, 대다수는 내시경 검사없이 증상에 기초해서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되었다 위식도역류질환의 가장 선호된 치료 약물은 PPI로 단독 처방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GERD and treatment costs are continuously rising in Korea, and the importance of primary health care clinics where the most treatment of actual patients is conducted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diagnosis of GERD, selection of therapeutic drugs, and treatment methods in primary health care clininic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arge-scale multi-dimensional surveys. Methods: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8, the study data of 18,010 patients with GERD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eletronic medical record at 542 primary health care clinics in Korea. Results: Among all GERD patients, endoscopy was used for diagnosis in 16.11% of cases, and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gastroenterology department (28.85%). The average BMI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 stages 1 to 3 of obesity were highest in the ERD group, and the majority of the severity of ERD group was mild. Symptoms of the patients with GERD were mainly heartburn, gastric acid reflux, and chest pain. Drug treatment was performed in most of the patients with GERD, and PPI was the main drug, and Esomeprazol was prescribed the most among the main ingredients, and the ratio of PPI alone was high. The rate of symptom improvement after GERD treatment was slightly higher in the ERD group (75.91%) and the NERD group (74.36%) than in the GERD diagnosed without endoscopy group (63.89%). Conclusions: In domestic primary health care clinics, the majority were diagnosed with GERD without endoscopy on the basis of symptoms. The most preferred treatment for GERD was PPI, which was prescribed alone in the majority. (Korean J Gastroenterol 2023;82:180-189)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