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이 연구는 십이체 장고춤의 자연에 기인한 열두 가지 춤사위의 상징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십이체 장고춤의 미적 가치를 살펴보고 구조화된 형식을 추가적으로 기술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한혜경의「십이체 장고춤」무보집을 중심으로 춤사위에 관한 생태적 분석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12가지의 춤사위로 이루어진 십이체 장고춤의 경우 장단별 춤의 상징성이 모두 자연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발디딤과 도약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움직임 형상들은 자연 경관과 결합되어 ‘비연체’, ‘어미동체’, ‘하늘받침체’, ‘풍엽체’, ‘새부리체’, ‘끌체’, ‘절체’ 등의 일곱 가지 춤사위로 전개되고 있었다. 결론: 생태적 움직임에 기인한 열두 가지 춤사위는 전통 교방 장고춤을 조명해 볼 수 있는 역사적 기록인 만큼 추후 장고춤 표현의 정교함과 기능적 세련됨에 관한 학술적 접근 시 이 연구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ymbolism of the twelve dances in the nature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It also explores the aesthetic value of the twelve dances and further describes their structured form.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an ecological analysis of dance movements using Han Hye-kyung's ‘Twelve-forms Janggo Dance’ choreography booklet.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twelve different movements comprising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all carry symbolism related to nature. The various movement patterns observed in steps and leaps are combined with natural landscapes and unfold into seven different dance positions: ‘Flying Swallow Style,’ ‘Fish Tail Movement,’ ‘Heavenly Support Style,’ ‘Wind-Leaf Style,’ ‘Bird Beak Style,’ ‘Knotting Style,’ and ‘Folding Style.’ Conclusions: These twelve dance positions, rooted in ecological movements, provide historical insights into the traditional folk Janggo Dance.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future scholarly investigations into the intricacy and functional completeness of Janggo Dance expr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