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장애인 탁구 종목에서 뛰어난 성장과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 대중에게는 관심에서부터 소외되고 있는 장애인 탁구 대표팀의 패럴림픽 참가 경험과 그 경험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방법] 탁구 패럴림픽에 참가한 경험을 가진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 면담 과정을 통해 패럴림픽 출전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패럴림픽에 출전해서 입상까지 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패럴림픽이 패럴림피언들에게 삶의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시기별로 분류하고, 이야기되는 맥락을 분석하여 해석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모두 군대에서 불의의 사고로 원치 않은 장애를 얻었고, 재활을 위해 탁구를 접하게 되면서 장애가 생긴 그들에게 다시 살아갈 수 있게 한 희망이 된다. 둘째, 패럴림픽 참가는 시간과 비용뿐만 아니라 무관심과 차별, 장애의 고통까지 극복해야 하는 일이었다. 셋째, 패럴림픽 챔피언이 된 이후 그들의 운동여건은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그들은 생활고를 신경 쓰고 있었다. [결론] 여전히 관심도 부족하고 지원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을 이겨내며 패럴림픽을 준비하는 장애인 체육인들에 관한 실질적인 지원에 더불어 언론을 비롯한 우리들의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ralympic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disabled table tennis team, which is still marginalized from interest to the general public, and what it means. [Method] What i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Paralympic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able tennis Paralympics? What i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Paralympics and winning a prize? The meaning of life of the Paralympics was classified by period and the context of the story was analyzed to derive an interpret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participants gained unwanted disabilities due to unexpected accidents in the military, and as they encountered table tennis for rehabilitation, it is a hope that they can live again.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aralympics had to overcome not only time and cost, but also the pain of indifference, discrimination, and disability. Third, their athletic conditions have been improving since they became Paralympic champions, but they were still concerned about their hardships. [Conclusion] We need more attention from the media and others, along with practical support for disabled athletes preparing for the Paralympics while overcoming the still lack of interest and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