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현 상황에서,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 학교 현장에 보급하는 것은 도덕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들과 교과 전문가들의 의견 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도덕 교과서의 장· 단점을 분석하였고, 독일 교과서 분석을 종합하여 도덕 교과서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해서도 대응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3, 4학년 도덕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총 4가지로 설정하였다. 4가지 개발 방향은 첫째,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함양하는 교과서, 둘째, 도덕과 교육과정의 취지 및 방향을 구현하는 교과서, 셋째, 실제 삶을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 넷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이다. 이러한 개발 방향에 따라, 초등학교 3, 4학년 도덕 교과서는 교과서 체제 및 단원 구성, 내용 및 방법, 외형 및 디자인 전체에서 개선을 도모한다.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making good textbooks and distributing them to school is the most important and priority task in mor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moral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opinion surveys of field teachers and subject experts, and German textbook analysis was combined to derive improvements in moral textbooks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Through this, a total of four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textbook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set. The four development directions are, first, textbooks that cultivate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future society, second, textbooks that embody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third, textbooks that reflect real life, and fourth, textbooks that take into account learners'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is development direction, moral textbook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romote improvement in the textbook system, unit composition, content and method, appearance, and design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