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Accredited
COVID-19 이후 미국 대학교의 교육 다큐멘터리 제작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Documentary at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fter COVID-19
이학준 ( Lee¸ Hark-joon )
UCI I410-ECN-151-24-02-088918678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교육 다큐멘터리를 직접 제작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사례를 소개하고, 교육 다큐멘터리와 일반 다큐멘터리의 차이점과 학생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탠퍼드대학교의 월터 쇼렌스타인 아시아-태평양연구소(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는 2021년 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케이팝 소재 다큐멘터리인 ‘K-POP; Next Level’을 제작한 뒤 온라인으로 발표하였다. 필자는 교육 다큐멘터리의 연출을 담당하면서 28개월 동안 참여관찰한 결과를 ‘기획 및 사전조사 단계’, ‘제작 단계’, ‘발표 및 평가 단계’, ‘수정 및 완성 단계’로 나누어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판데믹을 겪은 미국 대학교에서 교육 다큐멘터리가 제작된 이유, 일반 다큐멘터리와의 차별점, 다큐멘터리의 활용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COVID-19 이후 국내 대학교 역시 플립러닝, 블랜디드 러닝 등 다양한 교육 혁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하지만 스탠퍼드대학교처럼 자체적으로 교육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경우는 드물다. 향후 국내 대학교들의 유사한 시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sed on the case of Stanford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which produced educational documentary after COVID-19,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documentary and general documentary, and how to use it for student education. 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at Stanford University produced the K-pop documentary "K-POP; Next Level" from February 2021 to June 2023. While directing the educational documentary, the author detailed the result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for 28 months by dividing them into planning and pre-investigation stage, production stag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and revision and completion stage. Through this, I tried to present why educational documentary were produced at U.S. university, what is the difference from normal documentary, and how to use it for education. Since COVID-19,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also attempted various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flip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etc. However, it is rare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by producing educational documentary by themselves like Stanford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help reduce trial and error in similar attempts by South Korean universitie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다큐멘터리의 정의
Ⅲ. 스탠퍼드대학교 K-POP 교육 다큐멘터리 제작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