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대학 창업의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resource의 성격에 따른 효과 분석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art-ups: Focus on Resources
이영환 ( Lee¸ Young Hwan ) , 박순애 ( Park¸ Soon Ae )
DOI 10.18333/KPAR.57.3.231
UCI I410-ECN-151-24-02-088901048

대학에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학에서 창업은 연구성과를 활용하고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발전에 있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학과 정부는 대학 창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 대학 교수의 창업 성과과 그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교수 창업 성과로 창업건수, 고용인원,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고 독립변수는 각종 연구비, 교수의 연구역량과 대학 기술상용화, 기술이전사무소의 인력, 창업기업의 자본금, 교원의 휴·겸직 현황 변수를 활용하였다. 한국의 4년제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112개 대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패널SUR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창업보육인력과 창업기업의 자본금, 대학의 창업 휴·겸직교원의 수가 창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제도적 개선사항으로 창업보육 인력의 확대, 대학정보공시에 있어 창업기업 특성 변수의 확대, 교원의 휴·겸직 제도 개선을 제시하고 있다.

Start-ups in universities are a vital source of research commercialization, job cre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Until now,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have invested a lot of resources to promote start-ups in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s how resources affect start-up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we use number of start-ups, number of employees, and volume of sales in university start-ups. Explanatory variables are central government fund, research fund from central government, research fund from industry, intellectual prominence, TTO, and so on. Panel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SUR model) is used to analyze data from 112 universities in Korea from 2016 to 2021.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start-up assistance personnel in TTO, the amount of equity of start-ups, and the number of leave and concurrent for start-up a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ncrease of start-up personnel in TTO. In addition, we insist that start-up-related information is needed in the academy disclosure system. Lastly, this article prove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in personnel policies regarding start-ups in universiti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분석자료 및 모형
Ⅴ. 분석 결과 및 정책적 함의
Ⅵ.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