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인권의식 유형 분류 및 차별 가해 경험 차이 검증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Human Rights Awarenes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Among Youths
박지수 ( Park¸ Ji-su ) , 김혁재 ( Kim¸ Heok-jae ) , 조건우 ( Cho¸ Geon-woo ) , 허난설 ( Heo¸ Nan-seol )
DOI 10.19034/KAYW.2023.25.3.06
UCI I410-ECN-151-24-02-088896159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인권의식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인권교육 경험의 영향력을 파악하였으며, 청소년 인권의식 유형에 따른 차별가해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0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응답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권의식은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각각 ‘인권의식 평균형(74.1%)’, ‘인권의식 부족형(23.7%)’, ‘인권의식 결여형(2.2%)’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인권교육 경험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인권교육 경험의 유무는 프로파일 분류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급과 도시규모 또한 일부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인권의식 잠재프로파일별 차별 가해경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인권의식 결여형은 인권의식 평균형과 인권의식 부족형에 비해 차별 가해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각 인권의식 프로파일별 특징을 논하고, 청소년의 인권의식 함양과 차별 가해 행동 감소를 위한 실천적 개입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uman rights awareness among youths. It also identifie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levels of human rights awareness of youths and analyzed how the level of human rights awareness affects the degree in participation in discrimin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s utilized responses from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s 2020 Child and Youth Rights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human rights awareness was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which were named "moderate type(74.1%)," "insufficient type(23.7%)," and "deficient type(2.2%)," respectively. Second,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on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and found that gender and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had an overall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file classification, while the school level and city size were also some significant effects. Thir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scriminatory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latent profiles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found that the ‘Defici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engagement in discrimination in comparison with the rest of the groups. In the discuss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file awareness and reducing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yout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