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에게 실시한 미술치료가 자기 표현력 향상과 공격적 행동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세 지적장애 3급 판정을 받은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으로 2022년 3월 11일부터 8월 30일까지 주 1회 60분 씩 총 20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 표현력 향상 체크리스트, KFD 동적 가족화 검사와 참여자의 사전·사후 행동변화에 관한 어머니의 인터뷰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이 내면의 응어리진 마음 상태를 그림과 이야기로 분노를 표출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미술 매체를 활용한 미술 활동은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의 공격적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의 마음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게 하여 가족 관계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가족들에게 공격적 성향을 표출하는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에게 미술치료가 감정표출을 돕고 자기표현을 하게 함으로써 공격적 행동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들의 유형별 증상에 따른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rt therapy performed on adults with early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aggressive behavior had an effect o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2 6-year-old adult with early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a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evel 3, and from March 11 to August 30, 2022, a total of 20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conducted for 60 minutes once a week. The research tools were a self-expression improvement checklist, the KFD dynamic familization test, and interviews with the mothers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 pre- and post-behavior chang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self-expression of adults with early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exhibit aggressive behavior by allowing them to express their anger and negative emotions through drawings and stories about their entrenched state of mind. Second, art activities using art media were found to alleviate aggressive symptoms in early-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nd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hird, art therapy programs to improve self-expression were found to help restore family relationships by allowing early-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o naturally express their mind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alleviating aggressive behavior by helping people with early development disabilities express their aggressive tendencies to their families by helping them express their emotions and express themselve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 therapy program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each type of early 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will be further promot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