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control and Career Adaptability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김은희 ( Eun-hee Kim )
DOI 10.34244/JFOYS.2023.20.3.9
UCI I410-ECN-151-24-02-088894100

이 연구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진로적 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 88명이다. 이들 중에서 44명은 실험집단에, 44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및 통제집단 모두에게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 전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종속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하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고등학생들은 자기통제력이 향상되었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자제력과 집중력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고 통제집단은 변화가 없었다. 즉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들이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제력과 주요한 과업에 몰입할 수 있는 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들은 진로적응력이 증진되었다.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관심, 호기심, 자신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진로적응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들의 진로적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개입하는 방법으로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의 활용을 고려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88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se, 4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44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underwent pretest and posttest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COVA was conducted us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 sub-factors of self-control, self-discipline an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self-contr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no treatment. Secondly,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led t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namely concern, curiosity, and confidence.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career ada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monstrates tha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be fruitfully utilized to help individuals exercise self-control, adapt to a dynamic environment, and plan their career pat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