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국내 상장기업 ESG 관련 공시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Domestic Listed Companies’ ESG Disclosure System
문상일 ( Moon¸ Sangil )
경제법연구 22권 2호 67-98(32pages)
UCI I410-ECN-151-24-02-088877949

최근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ESG 정보공시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성과를 측정해 외부에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이행책임을 약속하는 활동이며, 해당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ESG 관련 위험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대응방안을 보고서를 통해 공시함으로써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정보뿐 아니라 비재무적 정보와 그 영향 및 대응방향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해 투자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도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ESG 정보에 대한 공시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공시기준 없이 기업의 자발적 활동에 맡겨져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 다양한 기관들이 제시한 통일되지 않은 기준들을 기업이 임의로 선택해서 관련 보고서들을 발표하는 양상을 보여 왔다. 그로 인해, 개별 보고기준 제정기관들이 사용하는 ESG 개념이 조금씩 상이함은 물론, 공시대상 항목과 기준의 복잡성 등에 의해 ESG 정보공시 내용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던 가운데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심각한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자율적 시장메커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기후위기 극복방안으로 제시된 수단이 환경 관련 자발적 공시제도를 의무공시로 전환하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주요국 및 개별 규제기관들의 ESG 정보공시 의무화 추세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ESG 정보공시에 대한 시각변화로 인해 ESG 공시체계는 간소화되는 추세에 있는데, 현재 주도적인 ESG 공시에 관한 글로벌 기준으로는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산하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공시기준, 미국 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법안과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의 유럽지속가능성 보고기준(ESRS)가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도 해외 진출 기업들을 중심으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정부도 2021년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방안’을 발표하면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한 ESG 공시의무화 계획을 진행중인데, 현재로서는 대략적인 공시제도에 관한 계획을 수립한 정도일 뿐 ESG 의무공시화에 있어 구체적인 공시기준이나 공시의 범위 등에 관한 세부지표는 확정되지 않은 실정이며, 대다수의 국내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GRI, SASB, TCFD와 같은 다양한 국제 기준들과 최근 확정된 ISSB 기준 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향후 국내 기업에 적용될 ESG 공시기준으로 KSSB 기준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공시의 시기와 방식뿐 아니라 중소기업의 공시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기업규모별 공시의무 차등화 필요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공시내용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객관적인 비교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3자 인증제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The recent active discussions o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disclosure are fundamentally activities that measure a company’s perform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isclose it to the public, and commit to accountability to stakeholders. It involves analyzing the impact of ESG-related risks that a company faces on its value, and publishing the results and response measures in ESG reports. This system aims to enable investors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ompany’s financial information but also non-financial information, its impact, and response strategies. However, until recently, the ESG disclosure system has been operated globally without unified reporting standards, relying on voluntary initiatives by companies. As a result, companies have been presenting reports based on various non-unified criteria propos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This has led to problems such as varying ESG concepts used by different reporting standard-setting bodies,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reliability of ESG information disclosure due to the complexity of disclosure subjects and criteria. Amidst these circumstances, the pressing need for proactive responses to global climate change has led to a trend of transforming voluntary market mechanism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to mandatory environmental-related disclosure systems. This change in perspective towards ESG disclosure is leading to a simplification of the ESG disclosure landscape. Notably, key countries and regulatory authorities are rapidly moving towards mandatory ESG information disclosure. Leading global standards for proactive ESG disclosure include the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ISSB) under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Foundation, the climate disclosure mandate bill by the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 and the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ESRS) by the European Financial Reporting Advisory Group(EFRAG). In the domestic context, as interest in ESG management has surged, especially among companies expanding overseas,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for Corporate Disclosure System’ in 2021. This plan aims to make ESG disclosure mandatory through current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Currently, the plans for the disclosure system are outlined in a general manner, with specific indicators for disclosure standards and scope yet to be finalized. In the midst of the existence of various international standards like GRI, SASB, TCFD, as well as the recently established ISSB standard, the formulation of ESG disclosure standards for domestic companies, such as the KSSB standard,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timing and methods of disclosure but also the need for differentiation of disclosure obligations based on company size, in order to alleviate the disclosure burden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dditionally, establishing a practical third-party certification system is also an essential policy task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disclosure content and facilitate objective comparative assessments.

Ⅰ. 서론
Ⅱ. 글로벌 ESG 정보공시 기준 현황
Ⅲ. 국내 ESG 관련 공시제도 운영 현황과 선진화 방안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