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이황이 16세기 지주전호제의 확산 속에서 새로운 권위로서 도덕적 권위를 확립하고자 하는 목적 속에서 『주자서절요』를 편찬하는 과정, 그 텍스트 상의 특징, 사상적인 특색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인륜공동체의 실현이라는 목적에 따라 향약, 서원 등을 창안하는 과정에서 『주자서절요』를 편찬했다. 그는 『주자서절요』를 편찬하면서 양반사대부들이 주자라는 인물과 그의 사상에 접하기 수월하게 연구서형 선집서의 형태를 구안하고, 양반사대부들 수양의 표준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가 『주자서절요』에서 양반사대부들의 수양론에서 표준으로 삼은 것은 주자 중화신설이었다. 그는 주자 중화 신설을 바탕으로 경 수양론의 생활화를 달성하고자 했다. 아울러서 왕양명의 「주자만년정론」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존덕성과 도문학적 원리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면서, 도문학적 원리의 핵심인 격물치지를 바탕으로 사대부 성학을 형성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그는 양반사대부들이 일상에서의 수양을 토대로 도덕적 권위를 확립해서 국가권력과 견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적 주체로 거듭나기를 원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aimed to review the process in which Yi Hwang compiled the book <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Jujaseojeolyo) >, along with this book's textu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aking into account his intention to establish a new moral authority amid the era of 16th century in which landlord-tenant system was spread. For the sake of ethical community's realization, he created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village code (hyang-yak) and traditional auditorium (Seowon in Korean), and then published the book < Jujaseojeolyo >. Doing so, he wanted to help Joseon society’s noblemen to easily understand about Zhu xi's figure and his ideology through reading this compilation in working paper, by which they would be able to set the standard for their own self-cultivation. The mainly referred standard in this book was new theory on equilibrium and harmony, which had been raised by Zhu Xi. Based on his theory, Yi Hwang tried to routinize the cultivation-theory. As well, in response to Wang Yangming’s argument < Zhu-Xi in later life >, he raised interactively the value of dignity-respect and asking-and-learning mind, to form the sage learning for knowledge-extension, the value which had been the core of asking-and-learning mind. Doing so, in my view, he wanted that the noble class of Joseon (Sadaebu) establish their own ethical code on the basis of daily self-cultivation, so that they would become the public subject to be parallel with national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