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디아스포라를 가능하게 하는가?의 문제를 위해 이주, 기억, 경계에 대한 논의는 중요하다. 하지만 이주, 기억, 경계만으로 이들의 귀환 의식을 해명하기에는 무언가 부족한 점이 있다. 그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해결의 단초를 기억에서 찾을 수 있다. 이주민들에게 기억이란 자신이 돌아가야 할 곳, 즉 ‘근원’ 혹은 ‘본향(本鄕)’으로의 귀환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들의 회귀 욕망은 자신이 그곳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는 분리의 감정과 그곳으로의 온전한 복귀가 어렵다는 것을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곳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욕망이 숨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이러한 감정을 우리는 ‘상실’ 혹은 ‘상실감’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체가 상실한 본향은 부재 그 자체로 바라보아야 한다. 본향은 당위적인 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징후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환상의 윤리학(sinthome)’적인 방식은 주체와 본향 사이의 관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기, 무의식, 불안, 우울, 환상 등의 세계를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다. 본향에 대한 주체의 자유로운 즐김(jouissance)은 본향의 부재를 부재로서 받아들이게 되고, 여기에서 오는 상실감을 적절하게 떠나보낼 수 있는 ‘애도’의 형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애도의 형식을 통해 경계인의 심층이 열리고, 그곳을 향해 타자의 이해와 관용의 태도가 이어진다면 둘 사이에 가로 놓인 국가, 민족, 인종, 종교, 문화, 언어 등의 장벽은 자연스럽게 허물어지고 말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 인류의 이주는 초국가성, 반본질성, 기술의존성, 복잡성, 불확실성, 다문화성, 젠더성 등의 성격을 드러낸다. 현대에 들어와 보이는 이러한 성격은 이주가 지니는 이동 혹은 이동성의 강화를 의미한다. 소통 수단으로서의 인터넷의 활용은 모국이란 지역적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글로벌한 차원에서 민족 공동체에 접근할 수 있는 ‘장거리 민족주의(long-distance nationalism)’를 가능하게 했다. 자신이 떠나온 곳과 연결되어 있고, 마음만 먹으면 이 상상의 공동체와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은 이주민의 정체성 형성에 기본을 이룬다.
지금 세계는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의 시대로 접어든지 오래다. 디아스포락적 혼종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경계를 창발적으로 읽어내는 일이다. 디아스포라적 혼종성은 근대의 민족 국가 개념이라든가 유럽 중심의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논리, 그리고 제국적 백인 중심주의와 남성 중심주의에 포섭되지 않는 어떤 잠재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의 방향이 이런 세계를 겨냥한다면 그것은 이동성, 경계성, 혼종성 등 디아스포라의 은폐된 본성들이 제 길(routes)을 찾아가는 진정한 의미의 이산(離散)과 귀환의 과정이 될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discuss on the migration, memory, border, and loss to check what makes Diaspora available. However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ir consciousness only with the migration, memory, and border. The memory is the clue found to solve the problem and fill a gap. Immigrants' memory means root and homeland as returning to the place where they are to go back. Although they feel separated and isolated from the place and know they cannot return totally, they desire to go back to the place secretly. The feeling can be called loss or sense of loss.
The homeland the subject lost is to be dealt as the loss. The homeland exists as the natural form, not one of the signs. The way of Sinthome reveals the world of such as madness, unconsciousness, anxiety, depression, and fantasy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homeland. The subjects accept the homeless as absence with free Jouissance on the homeland. They take the form of mourning, as they can get off the sense of loss properly. When the marginal one's consciousness is opened and it leads to other's understanding and tolerance, the border of nations, people, races, religions, cultures, and languages between them breaks down naturally.
The Modern human migration reveals the features such as transnationalism, anti-nature, technical reliance, complexity, multiculturalism, and gender. The features shown in modern times reinforces the meaning of movement as to immigration. The internet as communication tool makes long-distance nationalism possible that one can access to ethnic community globally and freely from the local place as mother country. They are connected to the place they left and they can communicate with the imaginary community. It establishes the basis to form the immigrant's identity.
It is long the world has been multiracial,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What is to be dealt in Diasporic hybridity importantly is understanding borders with emergence. The Diasporic hybridity has potential against modern national-state, patriarchy with capitalism centered in Europe, white-oriented imperialism and androcentrism. When the Diasporic way is to that world, it can be the process of true dispersion and return that the hidden natures such as movement, liminality, and hybridity go their own ro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