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사이버 비행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as perceived by adolescents
김나형 ( Kim¸ Na-hyung ) , 박희현 ( Park¸ Hui-hyun )
DOI 10.17641/KAPT.26.3.7
UCI I410-ECN-151-24-02-088860426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사이버 비행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ㆍ고등학교 청소년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 4.0과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간접효과 추정 방식(Preacher & Hayes, 2008)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애정-적대 양육태도, 자율-통제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의 애정-적대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사이버 비행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부모의 자율-통제와 사이버 비행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애정-적대 양육태도와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사이버 비행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대한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청소년 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2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rocess Macro 4.0 and indirect effect estimation through bootstrapping, following the method proposed by Preacher & Hayes(200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affection-hostile and autonomous-controlled attitud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attachment, indicating a significant association. Moreover, parental affection-hostile attitudes and peer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yber delinque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found between parental autonomous-controlled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Secondly, the study confirm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affection-hostile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In other words,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attach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cyber delinquency. These findings can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aimed a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yber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