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놀이치료 내담 아동의 기질, 성격 군집 유형에 따른 모의 양육태도의 차이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by the Cluster of Child Cli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Play Therapy
채은영 ( Chae¸ Eun-young ) , 이지연 ( Lee¸ Ji-yeon ) , 이영애 ( Lee¸ Young-ae )
DOI 10.17641/KAPT.26.3.4
UCI I410-ECN-151-24-02-088860391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 내담 아동의 기질, 성격 군집 유형을 확인하고 집단에 따라 모의 양육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상담실에 내방하여 자녀의 기질 성격과 모양육태도에 대해 모가 자기보고식으로 작성한 총 338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2단계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담 아동의 기질에 따라 4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군집 1은 자극추구 성향과 사회적 민감성이 가장 높으나 인내력은 낮은 특성을 보여 ‘충동적인 위험추구형’으로, 군집 2는 위험회피성향이 가장 높고 사회적 민감성은 다소 높은 특성을 보여 ‘소심한 회피형’으로, 군집 3은 자극 추구, 위험회피 성향이 모두 낮고 인내력이 높은 특성을 보여 ‘안정적인 적응형’으로, 군집 4는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이 가장 낮은 특성을 보여 ‘자원없는 무기력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내담 아동의 성격특성에 따라 4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군집 1은 자율성, 연대감은 높고, 자기 초월은 낮은 ‘적응형’, 군집2는 자율성은 낮고 자기초월이 높은 ‘공상형’, 군집3은 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이 낮은 ‘의기소침형’, 군집 4는 자율성이 다소 높고 연대감이 낮은 ‘개인주의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내담 아동의 기질과 성격특성에 따라 모의 양육태도에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상담에서 내담 아동과 모를 상담할 때 그들에 대해보다 적절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ild cli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clusters, and to test the differenc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these clust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38 mothers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child client’s temperament, character and their parenting attitudes.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and 2 step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four clusters by child client’s temperament were identified: “impulsive risk-seeking type”, “timid avoidance type”, “stable adaptation type”, and “resourceless helplessness type”. Second, four clusters by child client’s character were identified: “adaptive type”, “daydreaming type”, “demoralizing type”, and “individualistic typ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parenting attitude by each clusters. This study is both interesting and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most appropriate forms of intervention during play therapy and parent counseling.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